⑮ 금강경 16분의 응용 2

어째서 바람이니 소원이니 하는 단어가 생기게 됐을까? 무엇을 하려 할 때 뜻하는 대로 노력하는 대로 잘 이루어 진다면 바랄 일도 바랄 마음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고등학교 이후 학창시절 내내 나에게는 세 가지 바람 즉 소원이 있었다. 첫 번째의 소원은 공부를 잘하고 싶었다는 소원이었고 다음은 대인관계가 원만하기를 바라는 것과 산만한 마음을 안정시키고 싶은 소원이었다. 공부 잘함, 대인관계원함, 마음의 안정 등 세 가지 소원은, 나의 행복과도 직결될 뿐 아니라 사회에서 성공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소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생존경쟁이 치열한 사회에서 실력이 뒤떨어지면 어떻게 이 세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대인관계가 원만치 못한데 사회생활을 잘 할 수 있을까? 마음이 안정될 때 각종 능력이 나오니,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은 세상 살아나가는데 매우 필요한 것이 아닐까?

내 뜻이 잘 이루어 지기를 바랐던 대학생이던 때 부처님 가르침을 접하게 되었다. 나는 부처님의 가르침 속에 내 소원을 성취하는 방법이 있기를 기대하였다.

내가 아는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는 생사해탈의 거창한 가르침도 있지만, 사회에서 유능한 사람으로 살 수 있게 하는 소박한 가르침도 있으리라 생각하였던 것이다.

말하자면 불교를 하되 마음만 닦는 불교를 추구한 것이 아닌 세상에서 성공하는 불교를 원했다. 내가 추구하는 불교는 엄밀히 말해 기복불교라 할 것이다.

당시 불교계 큰 스승으로 알려진 선생님께, 부처님의 어떤 가르침을 적용하면 나의 세가지 소원을 이룰 수 있겠느냐고 여쭈어 본 적이 있었다.

불교는 소원을 이룩하는데 도구로 쓰는 가르침이 아니고, 깨달음을 얻고 생사문제를 해결하는 가르침일세.” 선생님께서는 내가 예상한대로 이렇게 엄숙하고 냉정하게 말씀하셨다.

이 사람아. 불교란 무엇을 바라거나 구하는 가르침이 아닐세. 깨달음을 얻고 생사를 해탈하는 가르침이야!”

내가 이렇게 부처님의 가르침에 방황하고 있을 때 선지식을 만나게 되었다. 선지식께도 똑같이 질문하였다.

불교는 소원을 이룩하는데 도구로 쓰는 가르침이 아니고, 깨달음을 얻고 생사문제를 해결하는 가르침입니까? 제가 수년 전 불교계 큰 스승으로 알려진 선생님께, 부처님의 어떤 가르침을 적용하면 나의 이 세 가지 소원을 이룰 수 있겠느냐고 여쭈어 본 적이 있었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하여 제 소원을 이루는 것은 잘못된 길을 가는 것입니까?”

너의 소원이 무엇인가?”

몇 년 전 저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자 마자 부처님 가르침에 깊이 빠져 들어가, 각종 불경을 독송하고 할 수 있는 수행도 다 해보았습니다. 그러나 제 관심의 초점은 늘 세 가지 소원을 어떻게 달성하느냐에 맞추어져 있었습니다. 이를 위하여 지장경, 관음경을 공부하며 지장보살, 관음보살을 수없이 불렀습니다. 그러나 나의 세 가지 소원을 이루는 데는 별효과를 얻지 못한 것 같습니다.”

선지식께서는 정색을 하시며 불가능하지 않음은 물론 너는 시시각각으로 세가지 소원을 지금 당장 다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세가지 소원이 안이뤄졌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네 마음속에는 세가지 소원을 바라는 마음도 존재할 뿐 아니라 소원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마음 또한 존재하는 것이다. 긍정적 마음은 물론 부정적 마음도 다 소원을 이루는 능력이 있는 것인데, 이 부정적 마음이 소원을 이루는 것을 보고 너의 긍정적 소원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부정적 마음이 소원을 이룸을 분명히 알고, 안되게 하여 주십시오라는 마음만 제거하면 당장이라도 네 소원은 모두 이루게 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