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항쟁이 올해로 70주년을 맞는다. 이에 맞춰 제주 4.3항쟁 당시 제주불교계의 구체적인 피해 사례를 조명하는 학술대회가 314일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주최로 열렸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제주불교 전문가인 한금순 제주도 문화재위원은 제주4.3항쟁기 제주불교의 수난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들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한 위원에 따르면 제주 4.3항쟁 당시 승려 피해는 14개 사찰 소속 승려 16명으로, 총살 10, 수장 2, 고문 후유증 사망 1, 일본으로 도피 1, 행방불명 2명이다. 피해자 대부분이 근대 제주불교 활동을 주도한 스님들로 이들이 희생되면서 제주불교 활동 전반에 큰 손실이 발생했다.

재산 피해도 막대했다. 당시 피해 입은 사찰은 37개소로 전소된 곳만 18곳이다. 전소시킨 후에는 토벌대 주둔소로 활용하거나 면사무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제주도민들에게 제주 4.3항쟁은 아프지만 아프다고 이야기 할 수 없는 상처였다. 연좌제로 인해 폭도로 구분됐던 사람들은 자신들이 피해자임을 밝힐 수 없던 시절이 매우 길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제주 4.3항쟁을 다시 이야기할 수 있게 된 것은 지난 노무현 정부에 와서 가능했고, 이제는 자신의 가족이 피해자임을 알릴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불교는 피해를 입었어도 피해를 입었다고 말하지 않고 있다. 민중들을 위해 희생했지만, 후학들의 무지로 그들을 방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는 그들을 잘 기억해야 한다. 그래야 그들의 사상과 유훈을 이어나갈 수 있다. 잘 기억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연구가 필요하다. 제주 4.3항쟁에 대한 불교계의 지속적 관심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