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교계가 민간자격 과정을 확대하고 있다. 조계종 포교원이 1월 29일 불교명상 분야에 종단 공인 자격과정을 도입한 것이다. 민간자격증은 수강생들의 동기부여에서 큰 효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자격증 난립으로 인한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민간자격증은 2만8000여개로 매년 1000개가 넘게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문제에 민간자격증 관리 감독에 대한 지적이 국회에서 나오기도 했다.

종단 인증 민간자격증은 다양한 민간자격증 시장에서 종교계 공인이란 상대적인 가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민간자격증 취득시 활용처가 많아야 한다는 것이다. 불교 관련 민간자격증은 2013년 조계종 포교원이 ‘불교상담심리사’를 등록한데 이어 ‘불교심리상담사’, ‘찬불가 지도사’ ‘불교명상지도사’, ‘불교문화포교사’ 등 다양하다. 여기에 더 나아가 ‘방과후학교명상지도사’ ‘자비명상지도자’ ‘차명상지도사’ ‘청소년 마음명상지도사’ 등 불교와 접목 가능한 분야까지 진출하고 잇다.

늘어가는 민간자격증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우대하는 자리 또한 불교계 내에서 만들어져야 한다. 자격증만 취득하고, 사용할 곳조차 없다면 자격증 장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배움을 미래의 삶과 연결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불교계 교육과정을 듣는 이들이 많다. 불교의 가르침이 시대가 요구하는 방법론에도 적절히 활용 가능한 부분이다.

불교계 민간자격증 시장이 형성된다면, 사회와 접목되는 다양한 민간자격증 개발도 이어질 것이다. 21세기 포교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