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판화박물관, 19세기 한글소설 목판 최초 공개

보석함 전체 모습.

19세기 말 제작된 한글소설 목판 5장으로 만들어진 보석함이 최초로 공개됐다. 보석함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주사 고판화박물관(관장 한선학)은 9월 2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일본을 왕래하는 고미술상을 통해 이 보석함을 입수했다”면서 조선시대 희귀 방각본 한글소설 목판으로 만든 보석함을 공개했다.

장식된 목판은 한글소설 <심청전> <삼국지> <소대성전> <초한전>으로, 구한말 전주 완산에서 상업적 출판을 위한 ‘방각본(坊刻本)’으로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다. 방각본은 주로 서울ㆍ전주ㆍ안성에서 출판됐으며, 지역마다 달리 구별해 각각 경판본(京板本), 완판본(完板本), 안성판본(安城板本)이라 지칭했다.

보석함은 가로 14.5cm, 세로 8.5cm, 높이 7.0cm 크기다. 뚜껑은 <소대성전>, 앞면 <심청전>, 뒷면 <초한전>, 옆면은 <삼국지>와 <초한전>이 각각 좌우를 이룬다. 보존을 위해 주칠이 돼 있다. 이중에서도 <소대성전>과 <초한전> 완판본 목판은 최초로 발견된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완판본 한글소설 목판은 2건 3점, <삼국지> 1점, <유충열전> 분첩 1점, <심청전> 담배갑 1점뿐이었다. 이번 보석함 발견으로 4건 8점이 됐다.

보석함 뚜껑 완판본, <소대성전> 목판

한선학 관장은 “방각본 한글소설은 50여종 200여 책이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한 책 당 목판이 여러 장 필요한 것을 감안하면 수천여점의 책판이 남아 있어야하나, 현재까지 발견된 책판은 3점(이번 보석함에 사용된 5점 제외)밖에 안 된다”면서 “이번 한글소설 방각본 목판의 발굴은 큰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보석함 내용을 검증한 방각본 연구자 이태영 전북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도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목판 500여점이 6.25 때 불에 타 소실된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이번 보석함의 사례를 통해 일본으로 유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서 “또한 일본에 의해 문화재가 훼손된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했다.

고판화박물관은 보석함을 비롯한 유물들을 10월 27일부터 2018년 2월까지 열리는 ‘제8차 원주세계고판화문화제 특별전’에서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된 보석함을 포함해 ‘수능엄다라니’ 사각본(1687), ‘오륜행실도’ 관각본, ‘유충열전’ 방각본(19세기) 등 고판화박물관 소장 한글 목판 50여점이 소개된다.

원주세계고판화문화제는 2017 문화재청 생생문화재 사업의 일환으로, 올해 축제에서는 ‘목판의 훼손 및 보존’을 주제로 한ㆍ중ㆍ일ㆍ베트남ㆍ대만 등 학자들의 국제 학술대회가 열린다.

보석함 옆면 우측, 완판본 <초한전> 목판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