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표 교수 〈니까야로 읽는 반야심경〉 발간

〈반야심경〉은 반야부경전의 핵심이 녹아있는 경전으로 불자들에게는 매우 익숙한 경전이다. 그래서 관련 해설서들도 수없이 나오기도 했다.

이중표 전남대 철학과 교수〈사진〉가 최근 발간한 〈반야심경〉 해설서는 조금 특별하다. 그 독법의 초점이 불교 초기경전인 〈니까야〉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반야심경에 함축된 의미들
초기경전서 확연히 확인돼
경전 형성과정 이해도 높여


이 교수의 저작 〈니까야로 읽는 반야심경〉은 말 그대로 〈반야심경〉을 〈니까야〉에 근거해 해석한다. 기실 반야부경전의 특징은 불교의 본질이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에 있다고 설하는 데 있다. ‘반야바라밀다’는 ‘지혜의 완성’이라는 뜻이다. 여기에서 지혜는 ‘부처님의 지혜’, 즉 깨달음의 지혜를 가리킨다.

〈반야심경〉은 부처님의 지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공(空)’을 이해하고 분별과 개념의 세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설한다. 그래서 ‘색즉시공 공즉시색’이고 실체가 없는 ‘무아’를 말한다.

이 교수는 〈반야심경〉의 이러한 가르침의 근원을 〈맛지마 니까야〉에 있는 〈근본법문경〉에서 찾는다. 이 경은 개념적으로 인식하지 말고 체험적으로 인식하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담겨있다.

개념적 인식과 체험적 인식은 다시 〈맛지마 니까야〉의 〈코끼리 발자국의 비유 큰 경〉으로 설명한다. 이 경은 ‘고정불변의 실체가 있다’고 개념적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이어서 우리가 사는 세상이 인연에 따라 모였다 흩어지기를 반복하는 실체 없는 존재임을 〈쌍윳다 니까야〉와 〈디가 니까야〉를 토대로 설명한다. 이 속에서 ‘공(空)’과 ‘연기(緣起)’ 사상의 태동을 들여다볼 수 있다.

또한, 8종의 〈반야심경〉 한역본을 비교분석해 〈반야심경〉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산스크리트어에서 한문으로 번역됐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 교수는 일반불자들이 〈반야심경〉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경전에 사용된 언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색즉시공(色卽是空)’에서 ‘색’은 단순히 ‘물질’이 아니고 ‘공’은 ‘비어있음’으로 이해하고 해석돼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반야심경〉에 사용된 언어들은 모두 석가모니 부처님이 가르치신 초기 경전은 〈니까야〉와 〈아함경〉에 사용된 언어들”이라며 “이 책은 〈니까야〉와 〈아함경〉을 통해 대승경전인 〈반야심경〉을 해석한 것이다. 초기경전을 통해 〈반야심경〉을 살펴보면 결코 난해한 경전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