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봉환委서 스님들 대표로 활동 나서

일본 국평사 앞에서 유해봉환위원회 관계자들과 국평사 주지 스님 등이 국내로 봉환해올 유골함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일제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봉환위원회

종단협·관음종 등도 추모사업 전개해와

최근 일제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가 일본서 국내로 봉환되면서 이와 관련된 한국불교계의 숨은 노력이 재조명되고 있다.

‘일제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봉환위원회(상임위원장 무원)’는 8월 6일 일본 도쿄 히가시무라야마시 소재 재일동포 사찰 국평사서 일제강점기 노무동원자들의 유해 33구를 국내로 봉환했다.

日 국평사서 33구 봉환
서울시립공원묘지 안치
국민의식 제고 비롯해
재정 확보 과제 떠올라

위원회는 북한 출신이자 국평사 주지인 윤벽암 스님이 재일동포 무연고자들의 유해를 보관하고 있다는 소식에 지난해 일본을 방문, 국내 봉환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지난 6월에 실무진들이 의사를 타진한 뒤 7월 초 상임위원장 무원 스님이 윤벽암 스님을 만나 최종적으로 봉환에 합의했다. 이번에는 합의된 유해 101구 중 33구를 1차로 봉환했다. 유해는 8월 16일 경기도 파주시 소재 서울시립공원묘지에 안치되며,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해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선조들의 유해 봉환에는 스님들의 공로가 컸다. 현재 위원회는 상임위원장 무원 스님(대전 광수사 주지)과 공동위원장 신광 스님(일산 삼학 법보사 주지)·김삼렬 독립유공자유족회장이 대표로 활동 중이다. 무원 스님은 4년 넘도록 위원장을 맡아 유해 봉환에 앞장섰고, 최근 합류한 신광 스님은 실무 전선에 뛰어들어 의식을 집전하고 언론계에 이를 홍보하고 있다.

공동위원장 신광 스님은 “일본에 있는 선조들의 유해는 약 50만구로 추정된다. 이 중 무연고 유해는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았다”면서 “역사의 아픔을 풀어간다는 취지에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남북한 공통적으로 해당된다는 점에서 남북통일 염원과도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강제징용자 유해 봉환에 대한 정관계 인식이 높진 않지만 희생자 추모 사업은 불교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한국불교종단협의회(회장 자승)는 지난해 1월 일본 야마구치현 죠세이 탄광 추모비 앞에서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조선인 희생영령 위령재’를 봉행했다. 위령재는 2015년 일본서 열린 한중일 불교우호교류대회서 외교부 관계자가 추모행사를 종단협에 제안하면서 이뤄졌다.

관음종(총무원장 홍파) 역시 지난 2월 같은 곳에서 위령재를 봉행해 선조들의 넋을 기렸다. 관음종은 2015년 창종 50주년을 맞아 일제 징용자 유골 봉환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부산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상임대표 무원)은 2015년 러시아 사할린서 강제이주 희생자 합동 추모비 제막식과 위령재를 봉행하고, 추모관을 기공했다. 사할린에는 2005년 前조계종 총무원장 법장 스님도 방문해 위령재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해 봉환만큼은 재정 부족으로 인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유해봉환위원회 대표들의 출자금과 회원들의 십시일반 기부금만으로 감당하기엔 벅찬 상황이다. 1차로 유해 33구만 봉환해온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임위원장 무원 스님은 “선조들의 유해 봉환을 연속사업으로 이어가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민간단체 재원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할 수밖에 없다”면서 “현재 서울시에서 관심을 갖고 있어 다행이라 생각한다. 앞으로도 국내로 봉환해올 유해가 많아 위원회가 디딤돌을 놓는다는 마음으로 ‘영혼불사’를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