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술단체연합회 7월 3일 규정 통일안 발표

불교계 주요 학회 학술지. 그간 학회지마다 논문 작성 규정이 달라 연구자들은 적지 않은 불편함을 겪었다. 14개 주요 학회는 학회지 논문 규정을 통일키로 합의하고 1차 통일안을 7월 3일 발표했다.

다양한 불교학계 학술지들의 논문 게재 시 맞춰야 하는 규정들이 일괄적으로 통일될 전망이다.

한국불교학회, 대행선연구원 등이 참여한 한국불교학술단체연합회는 7월 3일 기자회견을 열고 ‘각주 및 참고문헌 형식 통일안’을 발표했다. 지난 3월 24일 통일안 합의를 위해 학회 대표자들이 첫 회동을 가진 후 3개월여 만에 완성된 것이다.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오래 전부터 논문작성 규정 통일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학회지마다 규정이 달라 처음 준비하던 곳이 아닌 다른 학회지에 논문을 기고하기 위해서는 다시 규정에 맞춰 고쳐 써야했기 때문이다.

통일안 마련을 위해 주요 불교학 단체들은 종호 스님(한국불교학회), 김성철 교수(동국대 경주캠 불교사회문화연구원), 김광식 교수(대각사상연구원·만해학회), 이기운 교수(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김호귀 교수(한국선학회) 등을 위원으로 한 실무추진위원회를 만들어 논의를 시작했다.

이들은 4월 7일, 4월 26일, 5월 26일, 6월 2일 4차례에 걸쳐 실무회의를 진행했으며, 매 회의마다 4~5시간의 열띤 논의들이 이뤄졌다. 이 같은 산고를 통해 ‘각주 및 참고문헌 형식 통일안’이 마련될 수 있었다.

이번 통일안의 가장 큰 특징은 △간결성 △일관성 △정확성 △국제성이다. 특히 인용 기술 방식에 있어 해외저명학술지와 국내 학술지 일부가 채택하는 ‘저자-발행연도 방식’을 채택한 점은 통일안의 장점이다.

또한, 통일안에는 각주의 경우 간략히 작성하고 온전한 서지 정보를 기입할 것, 연도는 서기로 통일할 것을 명시했다. 참고문헌의 경우 본문 인용 문헌만 정리·표기하고, 1, 2차 자료를 구분해 정리할 것을 규정했다. 1, 2차 자료 표기법도 상세하게 명시해 놨다. 원전의 경우에는 세계불교학계들이 사용하는 경전 명칭을 사용키로 했다.

실무위원으로 참여한 김성철 동국대 경주캠퍼스 교수는 “‘저자-발행연도’ 인용 기술 방식은 기존 국내외 사용자들로부터 편의성을 인정받았다”며 “이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 저자의 서술시간을 단축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효과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재, 합의 동참한 불교학 단체는 △대각사상연구원 △대행선연구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동국대(경주) 불교사회문화연구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만해학회 △보조사상연구원 △동방문화대학원대 불교문예연구소 △위덕대 밀교문화연구원 △인도철학회 △정토학회 △중앙승가대 승가학연구원 △한국불교연구원 △한국불교학회 등 14개 단체다. 불교학연구회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불교학 단체들이 참여한 것이다.

한국불교학회장 성운 스님은 “학회지마다 논문 작성 규정이 다를 경우 게재하려는 학자들은 번거로운 수정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이번 통일안으로 어느 정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세계 학계도 논문 규정을 통일하는 추세다. 몇몇 학회가 아직 동참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최대한 독려해 함께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