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계환 씨, 2월 10일 세계불교硏서 주장

▲ 세계불교학연구소는 2월 10일 ‘한국 불교학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월례발표회를 개최했다.
[현대불교= 신성민 기자] 일연 스님이 저술한 <삼국유사>는 불교문화 콘텐츠의 보고이며, 이를 통한 스토리텔링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국유사> 전법서로의 역할
일연 스님 사상 정립 등 과제


동국대 일반대학원 불교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명계환 씨는 2월 10일 세계불교학연구소(소장 고영섭)가 주최한 ‘한국 불교학연구의 현황과 과제’ 월례발표회에서 ‘한국 삼국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불교적 과제를 중심으로’를 발표했다.

<삼국유사>에 대한 학계 동향을 살핀 그는 <삼국유사> 연구의 불교학계의 과제로 △일연 스님의 불교사상 정립 △<삼국유사>에 대한 전법서로서의 이해와 고찰 △대안사서로서의 역할 모색 등을 제시했다.

100여 권의 일연 스님의 저술 중 <삼국유사>와 <중편조동오위(重編曹洞五位)>만이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을 지적한 명 씨는 “일연 스님은 간화선과 조동선, 교학과 신앙, 승과 속이 일실(一實)의 가치가 평등하여 피차 분별없는 세계로 나아가고자 했다”면서 “현재 스님에 대한 불교사상 연구는 피상적 접근에 머물러 있다”고 설명했다.

명 씨는 <삼국유사>의 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전법 서적 이해와 고찰’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실제, <삼국유사>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불교와 관련된 기록들이다.

명 씨는 “<삼국유사> ‘의해’ 편에 나타난 일연 스님의 전법 인식은 우리 민족에게 자신은 ‘불성’으로서의 삶의 주체이며, 이를 능동적으로 실천하는 것이었다”고 밝히면서도 <삼국유사>를 완전한 전법서로 단정해 의미를 축소하는 것은 경계했다.

그는 “<삼국유사>는 소수 특정인이 읽어야 할 문헌이 아닌 우리 민족이 함께 알아야 할 민족의 시원과 자취를 담은 텍스트”라며 “굴절된 시각을 경계하며 <삼국유사> 전체상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대안 사서로서 역할 모색을 위해서는 하기 위해서 불교문화 콘텐츠 개발에 노력할 것을 명 씨는 주장했다. 명 씨는 “<삼국유사>는 우리 현실의 삶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사선(斜線)들의 원형이 담겼고 인간 보편 문제가 서려 있기에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스토레텔링의 보물창고”라며 “<삼국유사>의 의미와 구조, 성격을 반영한 불교문화 콘텐츠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수료 동광 스님이 ‘한국 초기불교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최원섭 동국대 외래강사가 ‘한국 의상화엄학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이복희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가 ‘한국 화엄수행관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각각 발표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