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ㆍ마하이주민협, <이주민 불교공동체 조사연구서> 발간

2016년 베트남미얀마 등 8개국
이주민 법당 대표자 28명 심층면접

생성 초기 한국사회 의존 경향서
법회 운영 등 독립적 형태 나타나
협력체계 약해질 수 있는 시기
종단 이주민 기본정책수립해야

[현대불교=박아름 기자] 1995년 부천 미얀마 공동체가 결성되며 이주민 공동체란 개념이 정립된 지 20여년. 이제는 이주민을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고, 이들에 대한 종단차원의 포교정책을 수립해야한단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215일 조계종 총무원이 배포한 연구보고서 <이주민 불교공동체 조사연구>에 따르면 초기 이주민 종교 공동체는 한국불교계에 대한 의존적 태도를 보였다면, 20년이 지난 오늘날 독립사찰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양상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과거와 같이 이주민 법당에 대한 일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양방향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한단 필요성이 제기됐다.

조계종 총무원 및 마하이주민지원단체협의회는 20169~11월 베트남태국몽골스리랑카캄보디아네팔미얀마방글라데시 총 8개국 이주민 법당 소속 대표자 2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보고서는 이주민 법당의 다수를 차지하는 남방불교권() 불교공동체들이 의존서 자립 형태로 추세가 전환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초기 생성된 남방권 불교공동체들은 한국사회 조력자에 힘입어 태동했다. 하지만 태동기를 지나 생겨난 후발신생 법당들, 또는 초창기 취약한 국면을 벗어나 자생력을 보유하게 된 이주민 법당들 가운데 점점 독자성을 표방하는 곳들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근거로 자력으로 법당을 설립해 스님을 초빙한 최초 사례인 부평 미얀마불교선원, 대구 찟따수카 미얀마 사원, 부산 법승담마야나선원 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독립사찰로 진화한단 것은 각 공동체의 자율성이 더 강화한단 것이며, 이는 자칫 잘못할 경우 그동안 맺어왔던 협력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면서 이주민 법당과의 협력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 협력방안으로는 이주민 법당의 맞춤형 지원 방향성 도출 외국인 스님의 비자연장 및 단기 초청 업무 개선 법률 관련 정보 및 전문가 자문 지원 결혼이민자에 대한 포교방안 수립 법당운영 컨설팅 제공 외국인 스님에 대한 조계종의 조직적 협력방안 모색 총무원의 이주민 법당 스님 초청 등을 제안했다.

특히 이주민 법당 맞춤형 지원 방법에 대해선 남방과 북방불교 발전양상이 다르고, 각 법당별로 필요한 내용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지도 스님이 없는 이주민 법당에는 스님 파견 및 지원이 가능한 주변 사찰을 소개해주는 등 방안을 강구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결혼이민자에 대한 포교방안 수립도 주요한 과제로 꼽았다. 이는 심층면접 결과 불교공동체서 남성 이주노동자들의 활동이 활발한 반면, 결혼이주여성들은 남편 및 시댁의 종교에 따라 신행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이주민 법당서 신행활동을 주도하고 재정적 부담을 책임지는 주축은 남성 이주노동자들이다. 이런 경향은 남방불교권, 그 중에서도 미얀마와 스리랑카서 현저히 나타난다여성들은 1년에 2~3번 일회성 행사에 참가하며, 일상적 참여가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주민 당사자 뿐 아니라 자녀와 가정 모두에 대한 접근방안이 필요하다. 한국-외국 불교 친선사찰을 선정 지원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제안들이 현실화되기 위해선 종단 차원의 이주민정책 가칭 조계종 이주민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해야한다고 역설했다. ‘조계종 이주민정책 기본계획은 협력통합인권안정의 4가지 방향성에 따라 한국불교와 외국불교와 국제협력 강화 한국 불자와 이주민 불자 교류 및 통합프로그램 실행 불교인권을 바탕으로 한 이주민 인권 실현 이주민 법당의 안정적인 운영 및 행정지원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