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원효사상이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

붓다와 원효
분황 원효(617~686)는 우리에게 생각하는 방법과 살아가는 도리를 가르쳐 주었다. 그는 고대 이래의 천신(天), 산신(地), 무속(人) 신앙을 아우른 풍류도(三才)와 접목한 불교를 통하여 종교적 ‘삶의 품’과 철학적 ‘앎의 격’을 높여 주었다. 원효는 지난밤(땅막)과 오늘밤(무덤) 잠자리 사이에서 ‘일심(一心)’을 발견하고 대자유를 얻었다. 그는 부처와 중생의 관계를 ‘일심지원(一心之源)’과 ‘일심(一心)’의 관계로 해명하였다. 원효는 유식의 아뢰야식과 여래장의 진망화합식의 구조를 통해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상호인정-배려-소통-행복 구조
‘화쟁회통’ 논법… 현대 사회 대안
동아시아 사상가에 미친 영향 지대
100여 명명과 설화서 존재감 드러나

이러한 그의 시도는 〈대승기신론〉의 이문일심(二門一心)의 중층 구조를 원용한 독자적인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붓다는 존재 이해의 양극단을 넘어서는 ‘중관(中觀)’의 길을 제시하였다. 이것을 용수는 ‘공관(空觀)’, 승랑은 ‘정관(正觀)’, 천태는 ‘묘관(妙觀)’, 원효는 ‘화관(和觀)’ 즉 ‘일관(一觀)’의 길로 펼쳐내었다. 여기서 ‘화(和)’는 ‘일(一)’과 ‘묘(妙)’와 ‘정(正)’과 ‘공(空)’과 ‘중(中)’ 등의 다른 표현이다. 원효는 우리들의 ‘본래마음(心源)’이자 ‘하나를 향한 그리움’인 ‘일심(一心)’의 철학을 통해 붓다의 가르침을 적확하게 풀어내었다.

붓다의 가르침은 ‘사성제’의 수렴인 ‘중도’와 ‘십이연기’의 수렴인 ‘연기’로 전해져 왔다. 이것은 연기의 지혜와 중도의 자비로 언표되며, 상호의존의 연기법과 상호존중의 자비행으로 표현된다. 원효는 이것을 ‘귀일심원(歸一心源)’과 ‘요익중생(饒益衆生)’ 즉 ‘상홍불법(上弘佛法)’과 ‘하화중생(下化衆生)’으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일심지원’과 ‘일심’, ‘본각(결정성)’과 ‘진여(신해성)’, ‘일심’과 ‘여래장’, ‘일승’과 ‘삼승’, ‘개성(皆成)’설과 ‘각별(各別)’설 등의 다양한 범주와 구도로 해명해 내었다. 그리하여 원효는 부처와 중생, 즉 여래와 범부가 지닌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그들이 ‘그들 스스로를 풍요롭고 이익되도록’ 하고자 하였다.

원효는 일심을 지니고 있는 중생이 부처가 되고, 범부가 여래가 되는 길을 화쟁(和諍)의 논리와 회통(會通)의 논법으로 제시하였다. 그것은 이론 중심의 틀에 서서 쟁론을 전회시키는 용수의 회쟁(廻諍)과 쟁론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길장(吉藏)/혜사(慧思)의 ‘무쟁(無諍)’과 달리, 원효는 쟁론을 인정하면서 화회시켜 가는 ‘화쟁·회통’은 원효의 독자적인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일심에 근거한 화쟁과 회통 즉 ‘화회’의 방법은 이후 현대사회의 모든 대립과 여러 갈등을 해소하는 주요 활로로서 원용되면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심과 화회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의 서두에서 ‘일심의 근원’은 유와 무를 떠나서 홀로이 청정하고, ‘삼공의 바다’는 진과 속을 녹여서 깊고도 고요하다고 했다. 일심의 근원은 존재론적인 유무의 구분을 넘어선 자리이고, 삼공의 바다는 인식론적인 진속의 범주를 넘어선 지평이다. 즉 일심이라는 주체에 대한 집착을 넘어서고, 자아에 대한 집착인 아집을 넘어선 아공과 존재에 대한 집착인 법집을 넘어선 법공 그리고 이들 아집과 법집 모두를 넘어선 구공(俱空)의 바다는 피아(彼我)와 주객(主客)의 구분과 그것조차 넘어서게 한다. 이렇게 일심의 근원과 삼공의 바다는 우리를 존재와 인식에서 자유롭게 해 준다.

분황사는 고선사와 함께 원효의 주석처로 널리 알려져 왔다. 이들 두 사찰에는 모두 그를 기리는 비문이 세워진 절이다. 이 때문에 분황사와 고선사는 그의 존재감을 온몸으로 대표하고 있다. 절 이름이 ‘연꽃 중의 연꽃’ 즉 ‘분다리카 중의 황제(芬皇)’인 것처럼 원효의 〈십문화쟁론〉과 〈판비량론〉 등에 담긴 논리사상이 인도 불교논리학의 대가인 디그나가 즉 진나를 이었다는 뜻에서 그는 ‘분황지진나(芬皇之陳那)’ 혹은 ‘진나보살후신(陳那菩薩後身)’으로 불렸다. 또 그가 머물렀던 고선사에 세워진 ‘고선사서당화상비’에 나타난 것처럼 그는 ‘고선대사(高仙大師)’라고도 불렸다.

고려 의천(義天)은 형왕인 숙종에게 주청하여 원효에게 화쟁국사(和諍國師)를 추증하게 하였다. 그에게 화쟁국사를 추증한 것은 당시 사람들에게 비춰진 그의 사상적 기호가 ‘화쟁’이었기 때문이다. 그의 사상적 기호인 ‘일심’은 103부 208여권의 저술명에서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그의 논리적 기호인 ‘화쟁’ 혹은 ‘화회’는 〈십문화쟁론〉 뿐만 아니라 여러 저술 속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법장은 〈대승기신론의기〉에서 원효를 ‘화회(논사)’로 일컫고 있다. 원효가 ‘일심논사’ 혹은 ‘일심보살’이 아니라 ‘화쟁국사’ 또는 ‘화회(논사)’로 불려진 것은 그가 철학적 방법론으로써 원용한 주요기호가 ‘화회’ 또는 ‘화쟁’이었기 때문이다.

원효의 화쟁 회통 즉 화회(和會)는 ‘회통’을 통해서 ‘화쟁’해 가는 것이다. 여기서 회통은 ‘통(通)’ 즉 ‘글이 서로 다른 것에 통하는 것(通文異)’으로, 먼저 방편적인 언교들을 모아내고(先會權敎) 뒤에 실제적인 도리들과 소통하며(後通實理), ‘회(會)’ 즉 ‘뜻이 서로 같은 것에 모으는 것(會義同)’으로, 같은 종류의 뜻을 가졌으면서도 표현된 문구가 서로 다른 것들(同流義有移文句)은 뜻이 같은 종류대로 묶어서 여러 경문들을 회통하는 것(以義類而會諸文)이다. 화쟁은 ‘해(解)’ 즉 ‘다른 주장을 풀이하고 밝히는 것(解異諍)’으로, ‘화(和)’ 즉 ‘경전 문장을 모아 푼 것을 조화하는 것(和會文)’이다. 이처럼 원효는 중도 일심에 의거하여 ‘통’→‘회’→‘해’→‘화’의 순서로 회통하고 화쟁하였다. 그의 ‘화회(和會)’ 도리는 이후 중국과 한국의 사상가들에게 계승되고 원용되어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원효 이후와 분황종 그리고 원효종
원효사상의 영향은 여러 방면으로 미쳤다. 그는 의상과 같이 조직적인 교단활동은 하지 않았다. 대신 많은 저술과 대중 교화에 매진하였다. 그 결과 원효에게 부여된 많은 별호와 자호 및 존칭과 시호들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화회(和會)’ 혹은 ‘화쟁국사(和諍國師)’ 등이다. 이는 그의 지명도와 대중적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선사서당화상비’에는 만선(萬善)화상이 원효에게 불법에 능해 대덕(大德)으로 불린 9명의 제자들이 있었다고 전한다. 특히 분황사의 현륭(玄隆)은 대표적인 제자로서 원효의 〈겁의〉(劫義) 등을 전한 이로 보인다. 원효와의 인연뿐만 아니라 가르침을 받은 사복(蛇福), 그에게서 정(淨/錚)관법으로 지도받은 엄장(嚴莊) 등도 그의 제자로 추정된다.

이후 신라의 순경(順憬), 둔륜(遁/道倫), 태현(太賢), 표원(表員), 견등(見登)과 고려의 균여(均如), 의천(義天), 지눌(知訥) 등은 원효의 저술을 인용하거나 그의 논지를 원용하였다. 의천은 〈신편제종교장총록〉(3권)을 찬술하면서 〈고려교장〉에 원효의 저술 44부 88권을 입장(入藏)시켰다. 송나라 국사 찬녕이 ‘원효전’과 ‘의상전’을 〈송고승전〉(988)에 입전하면서 원효의 존재감은 동아시아에 널리 퍼졌다. 고려 중기의 의천은 숙종에게 주청하여 ‘화쟁국사’를 추증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분황사효성문(祭芬皇寺曉聖文)’을 지어 “백가의 상이한 주장의 단서를 화해시켜, 일대의 지극히 공정한 이론을 열었다”고 평가한 이후, 김부식은 ‘화쟁국사영찬’을 지어 그의 학문을 크게 찬양하였다.

명종은 원효의 업적과 개성을 기려서 ‘화쟁국사비’를 추립하였고, 이규보는 ‘소성거사찬’을 지어 거사의 모습으로 원효를 기렸다. 고종 때의 하천단은 ‘해동수좌모’에게 주는 관고(官誥)에서 “백가의 상이한 주장들을 화해시키고, 선교를 다함께 귀일시켜 회통하였다”고 하였다.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거리낌이 없는 원효(元曉不羈)’로 그의 가풍을 파악하였다. 고려 중후기에는 그의 유법을 계승한 이들이 모여 분황종 즉 해동종 역시 분황사에 머물면서 경전과 계율을 혁신하고 민중과의 광범위한 기반을 확보한 원효의 학문과 행화를 계승한 종단이었다. 당시 분황종은 상당한 세력과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수기도 그들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조선 중기 연산군 대에 불교교단이 사라진 이후 대한시대에 창종된 원종(1908)과 임제종(1910)이 이어졌다. 이후 다시 조선불교(1926), 조계종(1941)을 거쳐 대한불교조계종(1962), 한국불교태고종(1962/1970), 대한불교천태종, 대한불교진각종, 대한불교총지종, 대한불교불입(관음)종에 이어 대한불교원효종(1963)이 창종되었다. 박정희정부 시절에는 용산구 행정구역 내에 ‘원효로’가 붙여지고, 원효초등학교, 원효로성당, 원동교회, 효동교회, 원효아파트, 효창공원 내의 원효대사상, 한강의 강남북을 잇는 원효대교 개설 등으로 인해 ‘서울의 원효’로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남북한 전역에는 원효봉을 비롯하여 원효사, 원효암, 원효방, 원효굴 등 사암들 100여개의 명명과 연기설화가 그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다.

원효사상의 영향
원효에 대한 평가들은 모두 여러 상이한 주장들을 ‘화해’, ‘귀일’, ‘회통’시켰다는 것이다. 이는 그의 사상의 강력한 영향이 화쟁회통 즉 화회에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가 제시한 갈등과 대립이 사라진 평화의 길은 상대가 절대적으로 옳다거나, 절대적으로 틀리다거나, 옳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거나, 옳을 수도 없고 틀릴 수도 없다는 사구(四句)의 편견을 넘어설 수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먼저 1) 서로의 시간적 지연과 공간적 차이를 ‘인정’하게 된다. 즉 1-1) 내가 하지 않는 것을 남이 하고 있다는 것(無分別), 1-2) 내가 하지 못하는 것을 남이 할 수 있다는 것(無執着), 1-3) 내가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을 남이 가지고 있다는 것(無所有)을 인정하게 된다. 2) 서로의 시공적 차연의 인정 위에서 ‘배려’하게 된다. 2-1) 그가 지닌 몸과 마음의 조건(條件), 2-2) 그가 지닌 현실과 상황(狀況)에 대해 배려하게 된다.

3) 서로의 배려 위에서 깊은 ‘대화’가 우러나온다. 3-1) 상대가 나를 배려하고 있다는 인식, 3-2) 상대가 나를 존중하고 있다는 인식 위에서 마음이 열려진다. 4) 서로의 깊은 대화 속에서 ‘소통’이 이루어진다. 4-1) 서로 간의 깊은 대화 속에서 몸의 소통, 4-2) 서로 간의 깊은 대화 속에서 마음의 소통이 이루어진다. 5) 서로의 소통 속에서 ‘행복(건강)한 삶’이 이루어진다. 5-1) 서로 간의 몸과 마음의 소통, 5-2) 서로 간의 몸과 마음의 소통을 통해 행복(건강)한 삶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구를 넘어서게 되면 상호의 인정-배려-대화-소통-행복(건강)의 연쇄 속에서 회사의 노사 갈등, 남북한의 이념 대치, 국가 간의 기후 대립 등의 충돌을 해소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구를 넘어선 원효의 화쟁회통의 논법은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를 극복할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으며 널리 원용되어 점차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