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문화 결산

국보 78호 반가사유상<사진 왼쪽>. 일본 국보 주구사 반가사유상과 처음으로 국립중앙박물관서 합동전시됐다.
[현대불교= 신성민 기자] 2016년 한해 불교 문화계는 전반적으로 평이했다는 평가다.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문화재 전시는 활발했지만, 불교계 안쪽에서 큰 이슈를 가진 대형 기획 행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공연계에서도 스테디셀러 연극 ‘이뭣꼬’는 계속 무대에 올랐지만, 새로 만든 창작극들은 거의 없던 것이 사실이다.

韓日반가사유상·백제展 등
대형 전시는 잇달아 열려
불일미술관 신진 발굴 활력
스님 웹툰 작가 활동 눈길
음반·공연은 전반적 저조해
사찰음식점, 미슐랭 등재도

불교 관련 대형 전시 잇달아
올해 불교계 문화 행사에서 가장 도드라진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불교 관련 대형 전시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영훈)은 특별전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을 5월 24일부터 6월 12일까지 3주간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했다. 2015년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계기로 기획된 특별전은 한국의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과 일본의 국보 주구사(中宮寺) 반가사유상이 최초로 한 자리에서 만난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일본 주구사 반가사유상 개안법회는 허용하고 한국 국보 반가사유상에는 헌다 의식을 불허해 문제가 돼 의미있는 전시의 옥의 티가 됐다. 결국 이영훈 국립중앙박물관장이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사과와 해명을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내년도 1월 30일까지 개최하는 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역시 불교 관련 전시다.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주년을 맞아 열리는 특별전은 왕흥사지, 미륵사지, 왕궁리 사리장엄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최초의 전시여서 화제가 됐다.

20주년 맞는 불일미술관 ‘일신’
올해로 개관 20주년을 맞은 서울 법련사 산하 불일미술관은 기념사업으로 신진작가 발굴 사업을 전개해 눈길을 끌었다. 그간 젊은 신진 작가의 경우 불교 미술이라는 특수성과 재원 부족으로 전시 공간을 확보하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불일미술관이 전시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신진 작가들의 전시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최근에는 가톨릭 인천교구 문화원·음악원과 함께 12월 29일까지 ‘불교·가톨릭 미술인 만남’ 전시회를 개최했다.

서주 스님의 카툰 작품 다워니 스님. 최근 스님 카툰 작가들의 활동이 SNS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불교와 가톨릭 미술인의 만남’ 전시회는 2003·2004·2007년 세 차례 열린 바 있다. 앞선 3번의 전시회는 종단 차원에서 이뤄진 전시회였지만, 법련사가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일반 신도와 미술인이 요청해 성사된 것이어서 그 의미를 더했다.

창작 공연 저조·웹툰 활성화
음반이나 공연계는 전반적으로 침체됐다. 부처님오신날이나 개산대재에 진행되는 산사음악회와 관련 단체들의 공모행사와 정기 공연들을 제외하면 특별한 공연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나마 경허연구소가 4월 20일부터 5월 1일까지 동국대 이해랑예술극장에서 경허 선사의 일대기를 그린 연극 ‘경허-Empty Mirror’, 그리스 비극 엘렉트라를 불교적으로 옮긴 ‘엘렉트라 인 서울’ 정도가 새로 선보인 불교 창작극이었다.

그나마 시대에 맞는 문화콘텐츠 발굴이 활성된 것은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가장 눈길을 끈 것은 SNS를 중심으로 스님 작가들의 웹툰 창작이 눈길을 끌었다. 어라 스님 캐릭터로 유명한 지찬 스님은 자신이 작품을 모아 <어라, 그런데로 안녕하네>를 출간했다.

동자승 다워니로 작품 활동을 하는 서주 스님은 SNS와 각종 전시회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다만, 하나의 콘텐츠로 여러 영역의 상품으로 확장시키는 ‘원소스 멀티유즈’ 마케팅은 불교계가 고민해야 할 숙제이기도 하다.

경허 선사 일대기를 그린 연극 경허-Empty Mirror’. 이를 제외하면 신작 불교 창작극은 찾기 어려웠다.
이와 함께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이 운영하는 사찰음식전문점 ‘발우공양’이 발표된 미슐랭 가이드북 서울편서 1스타 레스토랑으로 선정된 것도 의미가 크다.

미슐랭 가이드는 “사찰음식을 대중에게 소개한 레스토랑으로 고기와 해산물 외에도 오신채를 쓰지 않고, 사찰서 만드는 장류와 유기농 재료를 사용해 깊은 감칠맛을 내는 요리를 선보인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미슐랭 가이드 선정을 두고 ‘사찰음식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된 계기이자 세계화를 위한 발판’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상업용만이 아닌 수행자 음식이라는 철학과 뿌리가 지켜져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함께 제기됐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