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수 교수 〈불교평론〉 ‘고령사회와 불교’ 특집서 주장

[현대불교= 신성민 기자] 20년 뒤 한국불교는 초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젊은 세대의 유입이 없을 경우 큰 위기에 봉착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35년 출가자 54% 고령
10년 뒤 재가고령율 36%
젊은 층 유입없으면 ‘위기’
신노인층 활용 차안 제시
‘고령화 특별법’ 제정 요구


이범수 동국대 생사문화산업학과 교수는 〈불교평론〉 겨울호 특집에 기고한 논문 ‘불자 노령화에 따른 교단적 대안 모색’을 통해 이 같이 주장하고 초고령화에 대비하기 위해 베이비붐 이후 신노인층에 대한 활용방안 모색도 차안으로 고민할 것을 제안했다.

이 교수는 통계청 인구센서스와 조계종 연령별 승려 통계 등을 분석해 10년, 20년 뒤의 승가와 재가의 연령분포 값을 도출했다.

조계종의 경우 2015년 13,078명이 종단 소속 승려로 등록됐고, 65세 이상 수행자가 2,140명으로 고령화율은 16.36%이다. 고령사회 기준인 14%를 이미 넘어선 수치다. 이를 토대로 이 교수는 출가자 증가폭, 평균 사망률, 10년 뒤 고령인구 편입자 등을 계산해 10년 뒤 조계종의 고령화율이 36.1%에 이른다고 진단했다. 같은 방법으로 20년 뒤를 계산한 결과 고령화율은 54.8%로 집계됐다.

이 교수는 “한국불교는 2015년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약 20년 뒤에는 승가 인구의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화 사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가 신도의 경우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2005년 통계청 인구센서스에 따르면 한국불교 인구 수는 전체 인구의 22.8%인 1천72만 명으로 집계됐다. 현재 통계청은 2025년 인구를 5천 20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불교 인구는 1천184만 명에 이른다. 이를 바탕으로 다시 고령화율을 환산하면 그 수치는 36.3%에 이른다. 이는 통계청이 예상하는 2025년 고령화율 29.4%보다 7%가 많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2025년까지 젊은 재가자가 유입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2035년에는 고령화율이 54%에 달하는 승가와 비슷해질 수 있다”면서 “한국사회의 고령화 비율보다 높아지는 재가자 고령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나 종책 등은 종단 차원에서 연구되거나 채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젊은 층들이 불교인구 편입되는 것은 한국사회에서 삶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당장은 뽀족한 대안이 없음을 인정하고,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장차 노인층에 편입될 신노년층 불자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고민할 것을 종단 지도부에 주문했다.

신노년층 포교를 위해서 이 교수는 신노년층을 위한 복지 사업과 수요자 중심의 교육 및 수행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고 범불교계 차원의 ‘고령화 특별법’을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이 교수는 “신노년층 활용에 필요한 부분들을 세밀하게 파악해 다방면의 준비가 착오없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런 준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불교계 고령화 대책 특별법’이 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승가 복지는 현 시대에서 승가의 존속을 위해 필요한 법률이었으며, 이를 받쳐주는 복지법이 제정돼 종단 내 많은 영향을 주며 꾸준히 점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면서 “따라서 고령화 특별법에 대해 우선적으로 공감대를 모으고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