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지진안전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경주 지진으로 인해 드러났다. 지진피해는 복구되고 있지만 남은 과제는 많다. 이에 전문가들에게 앞으로 불교계가 신경써야 할 것들에 대해 들어보았다. 편집자주


지진대비는 작은 것부터

도진영(경주대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가장 시급한 부분은 지진이 잦게 오더라도 이에 대비하는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경 정부에 의해 야외 문화재에 대한 전반적인 R&D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당시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지만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은 미흡했다. 이는 지진이 우리나라에서 설마 일어날까 하는 무사안일주의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불교문화재 중 석탑과 석등 등은 야외에 있어 특별한 내진장치를 해야 지진으로 쓰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사찰 내부에 있는 다양한 불교문화재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의 사찰에서는 성보문화재를 낚시줄과 같은 투명한 줄로 묶어 놓는다.

이와 함께 조급한 마음에 무조건 빠른 대처를 요구하는 것만은 옳지 않다고 본다. 지진 대책을 신중히 세우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행정절차를 면밀히 다져 집행했으면 한다. 이와 함께 앞서 말했듯이 민간에서는 사소한 것부터 지진에 대한 대비를 해나가는 모습이 필요하다.


 

문화재 내진, 방향 정해야

권기혁(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 교수)

현재 문화재는 건축법에 적용을 받지 않고 있어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다. 먼저 석탑의 경우를 보면 통돌로 되어 있는 석탑은 그나마 나을 것이지만 다보탑과 같이 짜 맞춘 탑과 모전탑 등은 조금 더 큰 지진이 오면 무너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나 법주사 미륵대불과 같이 상단부에 많은 무게가 쏠린 입상 형태의 불상도 지진에 취약하다.

여기에 사찰을 포함한 한옥도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것이 태반이다. 사찰 구조를 보면 구조해석학적으로 접합부의 경구 상태가 강절이 아니기에 변형이 크게 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기와를 얹는 지붕의 무게가 무겁고, 대부분이 월대 위에 석축으로 된 기단을 쌓고, 이 위에 건물이 올라간 상태이기 때문에 지반교란에 취약하다.

문제는 현재 정부와 불교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문화재 내진장치를 할 지에 대한 논의나 매뉴얼이 없다는 것이다. 일본과의 건축방식이 틀리기에 우리 만의 방식을 연구개발해 나가야 한다.


  

선조보다, 지진 인식 떨어져

문명대(동국대 명예교수)

 

 

경주 지진에서도 사람이 죽고사는 문제인데, 탑 몇 개 무너지면 어때라는 의견을 보았다. 이러한 인식이 안타까울 따름이었다. 문화재는 옛 선조들의 사상과 문화를 반영한 그 나라, 민족의 고유한 문화유산이다.

이번 지진에서도 드러났듯이 우리 선조들은 이젠 문화재가 되어버린 당시 건축물에 내진설계를 하였다. 이러한 선조들이 있음에도 현재 우리는 지진에 대한 인식이 너무나 떨어진다.

특히 문화유산이 될 만한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와 기존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한 내진장치 설치는 사실상 전무하다.

일본에는 우리와 다르게 문화재에 내진설비를 하도록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문화재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유산도 지진이라는 재난상황에 노출돼있음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교계만을 돌아본다면 먼저 스님들과 불자들의 인식부터 새롭게 할 필요성이 있다. 결국 불교문화재는 불교의 문화이자 자산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