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에 잠시 왔다 가는 거야.

그러니 앞으로 살기 위한 욕심으로,

가난 때문에, 병고 때문에,

‘잘 살아야지. 위대하게 돼야지.’

이런 것 때문에 이 공부 하지 마라.

 

▲ 그림 최주현

(지난 호에 이어서)

질문자2(남) 질문드리려고 했던 것을 지금 큰스님 법문을 듣고 다 잊어버렸습니다. 질문드려야 될 내용들을 미리 다 법문 중에 말씀해 주셔서, 자비로우신 그 말씀을 듣고 어떻게 감정을 정리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당황되고 흥분되고 뭐,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여러 법형제님들께서 공부를 참 열심히 하고 계십니다. 법형제님들이 정말 큰스님 말씀과 같이 정진을 하기 위해서 굉장히 고심을 많이 하고 있는데 저희들 경우에는 늘상 그 자리고 늘상 제자리인 것만 같아 답답하여 어떻게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질문드릴 것이 너무 많아서 무엇부터 말씀드려야 될지 모르겠는데, 오늘은 습에 대해서 여쭙겠습니다. 사람의 마음이 찰나찰나 돌아가기 때문에 습이 붙을 자리도, 업이 붙을 자리도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또 우리 중생은 몇억 겁을 거치면서 습이 쌓이고 쌓여 가지고 그 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마음은 체가 없다고 그러는데 체가 없는 마음에 어떻게 습이 붙어 가지고 이생에 와서 중생들이 고통 속에서 살아가야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또 하나는, 큰 깨침을 얻으셨다는 어른들께서도 끝까지 그 습이 남아 가지고 가끔은 부지불식간에 그 습의 행동이 나타나는 때가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어떻게 설명을 해야 좋을지 가르침 받고자 합니다.

큰스님 그 얘기 하는데 뭐가 그렇게 깁니까? 하하하. 첫째는, 무조건 “네가 있다는 것을 네가 증명하는 거다.” 하고서 관하는 거고, 둘째는 가정살이 돌아가는 것 전부 ‘그놈이 하는 거니까.’ 하고 관하는 거죠. 그놈이 하는 건데 뭣이 그렇게 답답하고 그렇습니까, 네? 이거 보세요. 내가 말하는 건 잘되고 못되고 그걸 떠나서 말하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답답한 것도 거기서 나오는 거, 잘 안되는 것도 거기서 나오는 거, 잘되는 것도 거기서 나오는 겁니다. 여기에서 그쳐서는 안 된다 이겁니다.

그거를 아까 내가 얘기했죠. 그것이 다 내 속에서 나오는 건데 진짜 우주간 법계와 삼천대천세계의 모든 일체제불이 한 골수에 들어서 한자리를 할 수 있다면…. 아까 그 소리 한 겁니다. 내일 죽는다, 이따 죽는다, 우리 식구가 다 멸망한다 이러더라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그런 결사적인, 나를 버린 그 마음이 정통으로만 들어간다면 뭐가 그렇게 어렵겠습니까? 뭐가 답답합니까? 그게 다 욕심입니다. 그렇게 생각 안 됩니까? 욕심입니다. 그 욕심을 부리지 않고 그냥 닥치는 대로 늠름하게 넘어가면서 진짜 칼을 악으로다 뺄 때는 그냥…. 이거 보세요, 악으로 사는 사람은 진짜 칼을 썩 뺐을 때는 사람을 죽이는 칼이 됩니다. 그러나 살리는 칼을 썩 뺐을 때는 수많은 중생들을 다 살릴 수 있고 한 나라를 세울 수가 있고, 한 나라를 세우기 위해서 전체를 다 한 칼로다가 부릴 수도 있다 이 소립니다. 그런데 뭐가 그렇게 답답합니까? 내일 죽으면 어떻고 이따 죽으면 어떻고 식구가 다 죽으면 어떻습니까? 어차피 한 번 죽을 거! 안 그렇습니까?

아니, 내가 그 말을 하는데 너무 잔인하고 너무 안됐다고 생각합니까? 아휴 참! 이 세상 이 길, 그냥 걸을 뿐이에요. 우리가 그냥 살 뿐이에요. 왜 사나? 내가 어디서부터 이렇게 와 가지고 지금 무엇을 하고 가는지 알아야 답답하지 않다 이 소립니다. ‘야! 이거 뭐 캠핑 와서 잠시 있는데, 내가 생각하고 이러는 것이 우주간 법계에 다 통신이 되는구나. 이럴지언대 내가 뭘 그렇게 걱정하랴.’ 하나도 걱정할 게 없어요. 소 한 마리를 잡는다 해도 걱정이 없고, 소 한 마리를 죽인다 하더라도 걱정이 없고, 이 세상이 다 없어진대도 걱정이 없고. 그렇기 때문에 세상을 살릴 수가 있는 거지 아니, 그놈의 거 하나하나 걱정을 하는 사람이 어떻게 세상을 건지고 살릴 수 있겠습니까? 가정도 그래요. 이판사판이에요. 하하하. 두 가지뿐이야. 죽느냐 사느냐 요거뿐이지 거기에 또 뭐가 붙습니까?

어떤 스님이 날더러 이렇게 말하더군요. “스님, 이 토굴의 문에 못 좀 박아 주십시오.” 그래서 “왜?” 그러니까, 난 그런 것도 모르고요, 생각을 안 했으니까. “못 좀 박아 주십시오.” 그래서 “못은 왜?” 그러니까 “들어간 뒤에 바깥에서 못을 박아서 못 나오면, 죽지 않으면 얻을 거 아닙니까? 죽지 않으면 얻고 얻지 못하면 죽고, 이거 둘뿐 아닙니까?” 이거야.

여러분이 이 도리를 알면요, 정말 아주 너그럽게 살아갈 수 있고 너그럽게 두루 할 수 있고, 항상 싱그레 웃고, 남이 갓 미쳤다고 할 정도로 싱그레 웃고 길을 지나갈 수 있고, 소 둥구리를 봐도 싱그레 웃을 수 있어요. 저거 가엾다, 저거 죽으러 가지, 뭐 이런 생각조차 없습니다. 왜? 아주 곧바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바로 그 순간에. 소 만 마리를 아니, 어떤 거든지 만 마리가 모두 죽었다 그럴 때 그것을 빗물 방울로 친다면 한 골짜기에 다 모였다 해도 한 골짜기에서 한 바다로 들어가는 물일 뿐이지, 한 그릇이지 그게 두 그릇입니까?

여러분의 그 마음은 체가 없고 무량해. 그래서 무량심이에요. 일심(一心)이자 무량심이고, 무량심이자 그 묘법이라. 무심도법(無心道法)은 그렇게 무량해서, 지금 수만 마리가 죽으러 간다 하는데 불쌍해서 염불을 해 주고 그런다면 그건 벌써 공부 못하는 사람들입니다. 지금 수십, 수백 마리가 죽으러 가는데 무슨 염불이 필요합니까? 염불하다 보면 벌써 다 늦는데, 하하하…. 그러니까 그 순간에 그냥 모조리 이 한 그릇 자기 마음에다 탁, 거기다가 만 마리고 천 마리고 넣으면 그냥 자기 한 그릇이 돼 버리고 말아요, 네? 그러니 그대로 그냥 인간으로 환토가 되는 거죠. 자기가 돼 버리는 거죠. 그렇게 자기만 만들어 놓는다면 자동적으로 그냥 나가서 인간이 되는 거예요. 인간이 돼도 그냥 아무렇게나 되는 게 아닙니다. 그 속을 거쳐서 나가는 인간은 나와서도 정말 사람 노릇을 하고 이 세상을 두루 살필 수 있는 지략과 아량과 지혜가 충만하다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러니 뭐가 답답해? 그렇게 답답한 마음으로 아들을 두면 그 아들이 장관도 못 하겠다! 장관은 해야 될 거 아니야, 그래도!

질문자2(남) 그런데 큰스님 앞에서 이렇게 법문을 들을 때는 금방 제가 부처가 될 것만 같고 하늘을 날 것 같고….

큰스님 이것 봐. 부처가 되려고 하지도 마라. 이 세상에 부처가 되려고 하는 마음이 있다면 답답한 마음이 또 생길 테니까, 응? 그러니까 그대로, 못났든 잘났든 그대로 그냥 수순히 걸어가. 그냥 딱 세우곤 입 딱 다물고 그냥 걸어가다가 딱 닥칠 때 ‘네가 하는 거지.’ ‘너!’ 하고선 말 안 해도 ‘너!’ 할 때 그건 그냥 그대로 깜짝할 사이야. 그러니 재생이 돼서 체가 나올 때는 거쳐서 나오는 그 시간이 있겠지만 자동적으로 불이 확 붙어서 끓는 쇠가 돼 가지고 직접 바로 나와. 그러니까 그렇게 약한 마음으로 이 도리를 어떻게 공부하겠나?

이 세상에 잠시 왔다 가는 거야. 그러니 앞으로 살기 위한 욕심으로, 가난 때문에, 병고 때문에, ‘잘 살아야지. 위대하게 돼야지.’ 이런 것 때문에 이 공부 하지 마라. 진짜! 진짜! “안 돼!” “이거는 어떠한 억겁에 처해 있다 하더라도 내가 안 된다면 안 되는 거지!” 하란 말이야. “안 돼!” 하면 그냥 안 되는 거지. 이게 이렇기 때문에 왁 소리를 지르고 그랬어. 그러곤 그냥, 손을 번쩍 쳐들어서 그냥 쳤단 말이야. 이게 진짜 깊은 물이 되기 때문에 큰 배가 뜰 수 있고, 큰 배가 뜰 수 있기 때문에 거기 중생들을 다 태울 수 있는 거야.

그러니까 우리가 오늘 첫째 일요일은 항상 이렇게 서로 토론하고 공부를 해 나가면서 그 쓰리고 아픈 상처를 아물리고, 내 몸에 들어 있는 모든 중생들을 제도해서 천백억화신으로 들락거리면서 나와 남을 위해서 일하고, 나라를 위해서 일하고 전 세계를 융화시킬 수 있어야겠지. 전 세계를 융화시키고 건지려면 또 우리가 집을 잘 지켜야 하지. 지구집을 잘 지켜야 하는 것도 우리의 소임이다 이거야. 우리의 집이니까. 내 몸도 그래. 여러분이 부모에게 뼈를 받고 살을 받았는데 인간이 돼 가지고 진짜 사람이 못 된다면 어떻게 효가 될 수가 있겠느냐? 부모에게 잘 해 드리고 잘 입혀 드리고 그래서가 아니다 이거야. 내 몸을 잘 간직해서 건강하고 진짜 인간이 됨으로써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는 거다 이거야.

부모는 자식한테 효도를 받으려고 하는 것보다도 아니, 오늘 그런 말도 나오게 생겼지. 봐요. 오늘 뭐, 어린이날이라면서? 난 그것도 모르고 오늘 “애들 오면은 뭘 좀 줘야지.” 그랬더니 “오늘 어린이날이 돼서 다 싸 놨는데요.” 그래서 “아휴, 너희들이 나보다 천 배 만 배 낫구나. 난 그것도 모르고 얘기만 했는데….” 그런 얘기를 했어요.

어느 부모든지 자식이 좀 아프다, 다리가 아프다, 어디가 병 들었다 그런다면 얼마나 아파하는지, 그거는 자식들 입장에선 생각조차도 못 할 겁니다. 나가서 다녀도 좋은 게 없고 아무리 우스운 일이 있어도 웃음이 나오지 않는 그런 부모가 돼 버리고 맙니다. 이게 효도입니까, 어디? 그러니까 막 굴리지 말라 이거죠, 젊은이들도. 자기 몸 막 굴리면, 자기 생각대로 막 굴리면 그건 효도도 못할 뿐만 아니라 충성도 못하죠. 또,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이라고 그랬잖아. 자기 몸에 들어 있는 자기 중생을 제도 못할 땐 자기 집이 있으나 마나지, 그거. 제도 못하면 자기 집도 망가지지, 자기 집 속에서 사는 자기의 의식들도 다, 인연들도 다 그냥 끊어지는 거야.

미래의 정신세계가…, 미래라고 그러니까 미래지 여러분이 정신세계를 지금 이 자리에 가지고 있고, 과거 자리도 이 자리에 가지고 있어요. 현재의 자리가 미래, 과거 자리가 현재로 돼 가지곤 돌아가니까, 불바퀴처럼 돌아가니까, 바로 법바퀴가, 여러분이 공(空)해서 자꾸 돌아가니까, 끊임없이 돌아가니까, 죽고 사는 생사의 문제에 끄달리지 않고 그런다면 이 자리가 바로 그 자리요, 오늘이 바로 영원한 그날이죠.

이번에 “사월초파일 메시지를 쓰세요.” 그래서 “그걸 왜 벌써 쓰냐? 4월 8일은 아직도 멀었는데.” 그러니까 “먼저 모두 돌려야 될 거 아닙니까, 지원에.” 그러니까 먼저 써야 된대요. 그 소리를 듣고 “그럼 받아 써.” 했습니다. 그래 놓고서 또 자기가 해 놓은 거를 모르는 거예요. 그래서 사무장님더러 읽어 보시라고 그랬습니다. 그러고는 “그거 누가 했는지 3단계로 곧잘 했구나.” 그랬어요.

그런 것처럼 4월 8일은 여러분이 있는 이 장소에서 그대로 4월 8일입니다. 왜냐? 4월은 바로 동서남북 전체를 말하고 8일은 유(有)·무(無), 즉 말하자면 사무 사유(四無四有)가 한데 합쳐져서 돌아간다는 거를 뜻해서 4월 8일입니다. 그 ‘오신 날’이 얼마나 좋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까. 그 뜻을 깊게 깊게 새겨야 합니다. 바로 영원한 오늘이죠. “온 곳이 없기에 갈 곳도 없어서 영원한 부처님 오신 날일세.” 했단 말입니다. 이 못난이가 잘했죠? 어때요? 허허허…. 그러니 여러분도 못난이죠? 나도 못났고요. 부처님도 전부 못났어요, 아주.

못났으면서도 가섭(迦葉)에게 다보탑(다자탑, 多子塔)의 반을 탁 내주면서 앉았단 말입니다. 야 참! 그것은 이 세상에 조금도 버림이 없는 한자리였습니다, 한자리. 그거를 가르치기 위해서 반 자리를 내주신 그 뜻이 얼마나 깊습니까? 그런데 우리는 그거를 항상 읽고 돌아가기만 하지 그 뜻을 한 번도 새겨 본 예가 없어요. 알기야 뭐 불자라면 아마 열 살만 넘었다 하면 다 알 겁니다, 그 소릴 들어서. 그런데 행하기가 그렇게 어렵고 그 깊은 속을 모른다 이겁니다. 또 질문하실 분 있으시면 질문하십시오.

 

질문자3(남) 스님! 스님도 못났고 저희들도 못났다고 그래서, 못난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큰스님께서는 저희들을 공부시키면서 몰락 놓으라는 말씀을 자주 하십니다, 때로는 무조건 맡기라고도 하시고. 그런데 그 몰락 놓으라, 무조건 맡기라는 데 생각이 미치는 그놈하고, 맡기는 놈은 누구이며 맡는 놈은 또 누구냐는 의문이 떠오릅니다. 결국은 맡기는 자와 맡는 자가 모두 나 자신이라는 걸 느끼게 되었습니다. 또 놓고 맡기는 거기에 아무런 경계가 없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다면 놓는 것도 맡기는 것도 없는 셈이 되는데, 큰스님께서는 “놓아라 놓아라” 하시니 이게 어떻게 된 노릇인지 궁금합니다.

큰스님 지난번에도 내가 얘기했죠. 큰 솥에다 팥죽을 쑤는데 말입니다, 팥죽 방울이 너무 많거든. 수도 없이 그냥 막 끓어오른단 말입니다. 여러분 배 속에서도 수없는 생명의 의식들이 나옵니다. 그래서 놓는 데도 한군데, 나오는 데도 한군데다 이겁니다. 그런데 요 방울 조 방울, 요 방울 조 방울이 연방 나오는데 한군데서 나와서 한 가지로 고정되게만 한다면 무슨 걱정이겠습니까마는 천차만별로 다른 방울이 그냥 솟아 나와요, 그 죽솥에서 죽방울이 말입니다. 방울은 작고 크고 달라도 죽솥에서 나오는 거니까 죽솥에다가 놔라, 이런 건데, 즉 말하자면 그렇기 때문에 “요놈도 문수! 요놈도 문수!” 하고 죽방울이 나오는 대로 주걱으로 쳤다지 않습니까.

그렇듯이 그것이 다 용도가 다릅니다. 우리가 살림하면서 별게 다 나오는데, 병고로 인해서 걱정, 가난해서 걱정, 회사에 가서 상사들한테 꾸중을 들어서 걱정, 또 애들이 속을 썩여서 걱정, 또 부부지간에 싸워서 걱정, 돈이 없어서 걱정 뭐, 걱정도 한두 가지가 아니죠. 그러니까 “죽방울은 죽방울인데 그렇게 다른 죽방울이니 그것들이 다 한 죽솥에서 나온다 하는 것만 믿고 알아라. 그러면 거기에 다 놓는 거다.” 이렇게 됩니다.

그러니까 한 솥의 죽방울이니 걱정을 하지 말고, 당장 애가 나가서 죽는다 이러더라도 걱정을 안 하고 “거기에서 나온다.” 하는 거를 안다면 그애는 나가서 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생각한 것이 벌써 전체 통신이 되기 때문이죠. 가설이라고 그러는 소리가 무슨 소리냐 하면, 내 형이라는 거를 알고 있으니까 가설이고, 아들이라는 거 마누라라는 거 알지, 어머니라는 거 알지, 다 알잖아요, 여러분 가족은? 그러니까 급하면 급한 대로 절친하면 절친한 대로 다 알아요. 알기 때문에 가설이 됐다는 겁니다. 그러니 내가 한생각을 그렇게 하는 동시에 바로 식구들까지도 다 통화가 돼요. 거짓말 아니에요. 통신이 된단 말입니다. 그러니 거기에서 벌써 ‘난 집으로 들어가고 싶구나.’ 이러곤 저절로 들어오죠. 자동적이에요, 그거. 이렇게 자동적으로 사람을 다뤄야 그게 이심전심이에요. 두 마음이 아니고 한 마음으로 돌아간다 이겁니다.

애들이 잘못하는 것뿐만 아니라 “난 이것을 하고 싶습니다.” 그런다면 어른이 생각할 때 천부당만부당할지라도 “그래, 네가 하고 싶으니까 해 봐라.” 그러고선 아주 좋게 그냥 받아 주고, 그것이 어떤 것인지만 경험하고 딱 돌아서게끔 마음에다 관해 놓으면, 가설이 돼 있기 때문에 나가서 다 해 보고는 “아이, 아버지, 나 그거 고만두겠어요.” 하게 됩니다. 그러면 “왜 고만두니?” 외려 그러거든. 그러면은 “아, 이만저만해서 그러니까 저 다른 걸로 하겠어요.” 한단 말입니다. 요렇게 해서 사랑과 자비, 의리, 이심전심으로 가정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그 관심, 이것이 진짜 사랑이죠.

그런데 그냥, 나가서 조금만 잘못됐다 하면 그쪽 이유는 듣지도 않고 “야이, 이놈의 새끼야. 너 어디 갔다가 이제 들어왔어? 공부하라니까! 이 아비는 땀 흘리고 벌어다가 너희들 공부시키는데….” 이럽니다. 누가 아니라나요? 하하하…. “그렇게 공부시키는데 요놈 새끼, 뭐 어디 가서 자고 들어와?” 그쪽 사정은 알아보지도 않는 겁니다. 내 속에서 나오는 대로 그냥 해 버리는 거예요. 이거는 내가 먼저 내 얘기를 하기 이전에 상대방 얘기부터 듣고, 잘못됐으면 “얘, 이렇게 이렇게 하는 게 좋지 않겠니?” 하고 주인공에 맡기는 거, 또 그렇지 않으면 “얘, 그렇게 해서 못 들어왔구나. 그건 참 잘했구나. 네 친구를 위해서 그렇게 했다면 참 잘했다. 사나이가 그런 의리도 없이 어떻게 살아나가겠느냐.” 아, 이렇게 좀 북돋아 주면 나가서 잘못하래도 안 해요.

이것이 부모가 삼분의 일 가르치는 일이고, 삼분의 일은 자기가 자작하며 이끌고 다니는, 바로 자기 마음을 자기가 다잡아서 나가는 거, 삼분의 일은 학교에서 선생님이 가르치는 거, 이렇게 3단계가 한데 합쳐지게 되면요, 이랬어 저랬어도 안 합니다. “아버지.” 그러곤 좋아서, 말할 땐 무릎 꿇고 앉아서 정중하게 말하고, 또 재밌게 얘기하고 그럴 때도 이랬어 저랬어, 마구 말하지도 않습니다. 아주 존경하고 어려워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사랑하기 때문이죠. 그렇지 않을까요? 지금 스무 살, 스물하나 둘, 요 정도가 예전 서른 살하고 맞먹는단 얘기죠. 지금 시대가 그만큼 됐으니까 아버지 어머니들은 좀 더 생각을 깊이 해 보셔야 될 겁니다.

그리고 또 나는 항상 그럽니다. 사소한 일 같더라도 신경을 쓰셔야 할 겁니다. 자녀들을 못 보고 그냥 나갈 때는 반드시 몇 자 써서 “얘, 아무개야! 냉장고에 반찬을 넣어 놨으니 그걸 데워서 먹어라. 그리고 언제 들어오는지는 몰라도 좀 일찍 들어와서 배고프지 않도록 해라. 너무 피곤하면 안 되지 않니?” 요렇게 아주 간단하게 써서 상에 놓아두고 나가면 자식들이 그걸 볼 때 차마 그 자비를 내버릴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존경하는 자기 부모를 내버릴 수가 없습니다. 절대입니다, 이건. 그게 뭐가 어렵습니까? 오늘 내가 이런 말 하는 것은 지금 외국이나 한국이나 너무들 삭막하게 사는 것 같아서입니다. 외국 가면 자녀들이 그냥 그, 마약중독 뭐 이런 것이 돼 가지고요, 부모네들이 상당히 고생합니다, 지금. 또 질문하실 분 있으면….

 

사회자 큰스님의 높은 법문을 받들다 보니까 어느덧 오늘도 또 예정 시간보다 많이 경과가 됐습니다. 많은 질문도 준비하고 있습니다마는 요다음 법회 날 질문을 드리기로 하고 오늘은 이만 저희들을 놓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큰스님 아니 회장님, 내가 붙들고 있습니까? 아니, 여러분이 나를 붙들고 있나? 붙들고 있는 사람 하나도 없습니다. 여기 있는 분들과 내가 다 붙들고 있는 게 아니고 마음이 한데 합쳐져서 우리가 서로 웃고 서로 얘기하면서 이렇게 한 것이니까 누구의 탓도 아닙니다. 부처님이 한 말씀도 안 했다는 뜻과 같습니다. 예, 그럼 감사합니다. 아유, 질문하는 게 밀렸다니 언제까지 밀릴까요? (대중 웃음)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