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이 전체 하는 일을 주인공에다가 되놔라!

▲ 그림 최주현

주인공 관법에 대해서
질문 저는 불교학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한마음선원에서는 관하는 공부법을 가르치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부처님 당시에도 무상관과 부정관이 있었고 대승불교의 금강경에서는 공관을, 그리고 화엄경에서는 일체유심조를 가르칩니다. 그렇다면 스님께서 말씀하시는 주인공에 관하는 공부 방법은 어떤 것인지요.

답변 처음에는 일체를 모두 나라고 보아야 합니다. 그걸 모두 나라고 봤을 때 일체의 움직임도 나요, 일체의 모습들도 다 나다 이겁니다. 그렇게 일체를 나로 보게 되면 모든 경계가 자연스럽게 놓아집니다. 우리는 인간으로 이 세상에 태어났는데, 지금 시대는 머리가 깨었다 이겁니다. 차원이 높아졌다는 얘기지요. 그러니까 지금은 높아진 대로 가르쳐야지 전에 하던 대로 육신이 영원치 못하다는 것을 꼭 송장을 봐야만 알고, 썩는 걸 봐야만 알고, 뼈만이 남는 걸 봐야 하는 시대는 넘어갔어요, 벌써.

이제는 생각만 해도, 죽으면 썩는다는 것을 알고, 썩으면 온갖 벌레들이 이것 먹고 저것 먹고 나중엔 뼈다귀까지 다 먹는다는 걸 알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렇게 직접 봐야만 알고 느끼는 수준을 넘어서란 얘깁니다. 알고 있는 걸 관하게 되면 빈 맷돌 돌아가듯 하거든요.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힘이 쓰이지가 않아요. 그러니 ‘일체 심이 다 나요, 일체 몸이 다 내 몸이요, 일체 아픔이 다 내 아픔이요, 일체 모두가 나로 인해서 생긴 거다.’라고 알아야 합니다. 그러니까 일체를 그렇게 알고 감사하게 주인공 자리에 놔라 이거지요. 내가 이 세상에 이렇게 형성이 됐기 때문에 이런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걸 생각하고 감사히 생각하면서 ‘야, 일체를 들이고 내는 게 바로 내 한마음이로구나. 그것이 바로 네놈이 아니냐?’ 하면서 관하는 겁니다.

또 어떤 사람은 “이놈이 뭘꼬?” 하라지만 난 그렇게 하라고 하고 싶지 않아요. ‘일체를 들이고 내는 놈이 네놈이지.’ 하고 관하면 되지, ‘주인공, 나를 어떻게 해 주시오.’ 하며 둘로 보지 말라 이겁니다. 그러면 아무것도 아닌 게 돼 버리니까요. 그러니까 일체는 네가 있기 때문에 모두 들이고 낸다는 걸 인정하고 들어가라 이겁니다. 그래서 그 믿음으로 관하라 이거죠.
그런데 관하다가 망상이 자꾸 들어온다면 그 까닭은 애당초에 믿음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거거든요. 어쨌거나 관하는 데도 자꾸 망상이 들어오면, ‘이 생각도 네놈이야!’ 하고서 관하는 겁니다. 이것이 모든 것을 한군데로 모으는 관법입니다.
그런데 왜 주인공도 부처님 자리인데 이놈이라고 하느냐 하고 묻기도 하는데 그건 불쑥 나오는 말이에요. 때에 따라서는 그놈이라 할 때도 있는데, 사실 다 되는 거 아닙니까. 그이도 되고 그분도 되고 당신도 되고, 또 나도 되고…. 그런데 왜 ‘그놈이 하는 거야!’ 그랬느냐 하면 주인공을 너무 높게 설정할까 봐 그래요. 그래서 가끔씩 “그놈이 있잖아?” 이렇게 해 버린단 말입니다. 주인공을 너무 높게 보아도 낮게 보아도 안 돼요. 그저 평등하게만 보아야지. 그래서 어떤 때는 주인공이라 했다 어떤 땐 그놈이라 했다, 어떤 때는 자성신이라 했다 어떤 때는 본존불이라 했다, 어떤 때는 자성심이라 했다가 그렇게 막 말이 나간단 말입니다. 그 많은 말이 나가도 ‘한 놈도 없는 그놈’을 이름해서 주인공이라고 부르는 거지요.
그러니까 그 모든 걸 분별하고 따지려고 하지 말고 모든 것을 바로 하나로만 생각하지, 둘로도 생각하지 마세요. 자기 내공이라고 생각하세요, 주인공이라고. 주인공은 이름이지만 지팡이와 같습니다.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이 의지할 데가 없고 그러면 지팡이를 짚어야죠? 그렇지만 눈이 밝아지고 그러면 지팡이는 저절로 놔지지 않습니까. 그와 마찬가지로 내공에다가 모든 것을 믿고 다 놔 버리세요. 다 놔 버릴 때 하나로 돌아가게 됩니다. 들이고 내고 들이고 내고 하는 것이 바로 내가 작용을 하는 거지 누가 작용을 하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삼천배를 하고 나서 눈물이 났는데
질문 제가 처음에 초발심이라 아무것도 모르고 산이 좀 높은 곳에 가서 삼천배라는 것을 해 봤는데, 열 시간 동안 삼천배를 딱 끝내고 나니까 왜 그렇게 울음이 나는지요. 너무나 환희롭고 감사한 마음이 들어서 그때의 기억을 오랫동안 잊을 수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이 삼천배를 통해서 제 몸이 정화가 되고 업식이 녹아드는 도리가 아닌지요.

답변 삼천배를 하셨다는데 그 삼천배는 한 사이가 없죠. 그런데 마음으로 ‘내가 여기 가서 삼천배나 해 보면 어떨까?’ 하는 그 생각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지극한 그 마음 때문이지 몸뚱이로 절을 했다고 해서가 아닙니다. 만약에 여러분이 몸으로 삼천배를 해야만 된다 이런다면 우리가 지금 생각하면서 뛰고 뛰면서 생각하는 이런 바쁜 세상을 따라갈 수가 없습니다.
우리 마음은 시공이 없는 마음이며 체가 없는 마음이며 자유스러운 마음입니다. 이 마음이 체가 없는 건데, 만약에 일배가 삼천배고 삼천배가 일배라면 어떻겠습니까? 모든 것을 둥글려서 한마음으로서 일배를 지극하게 했다면 삼만 배 한 것보다도 큽니다. 아시겠습니까? 그래서 예전부터 도인들이 “무거운데 왜 염주를 목에다 지고 다니느냐? 왜 목탁을 들고 다니느냐? 가죽 속에 다 넣어 가지고 다니면 가벼울 텐데.” 이런 말을 했죠.

그러니 마음이 바깥으로 끄달리지 마시라 이겁니다. 내가 절을 하든 법당에 가든 부처님의 형상이 나와 둘이 아닙니다. 모두가 둘이 아닙니다. 마음도 둘이 아니요 생명도 둘이 아니요 모두가 둘이 아닌 까닭에, 둥글려서 부처님 한군데로 대고 절을 하든지 그 부처님을 끌어다 내 속에 놓고 그냥 하든지, 둘로는 보지 마세요. 만 불의 부처님이 있더라도 그 만 불을 휘어잡아서 전체를 한 주먹에 넣고 뭉쳐 거기에 넣고선 절하라는 겁니다. 주인공 안에 다 들어 있으니까 말입니다. 삼정례를 올리고 칠정례를 올리고 팔정례를 올려도 그것이 진정한 일배만은 못하다 이겁니다. 진실한 일배!

관했는데도 왜 안되는지요
질문 단도직입적으로 여쭤 보겠습니다. 저희 어머니가 선원에 다니시면서 부터 어머니도 많이 바뀌시고 어려웠던 집안도 큰 걱정 없이 살게 되는 것을 어려서부터 지켜보았습니다. 그래서 뭔가 있기는 있구나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요 몇 년 잘되던 사업도 너무 안되고 그래서 어머니 따라 절에 다닌 지가 한 3년 정도 되어 갑니다. 그런데 절에 나와서 나름대로 관한다고 하는데도 이게 약발이 먹히지가 않습니다. 왜 어머니는 되는데 제가 관하면 되지 않는 것인지요.

답변 무조건 “나는 주인공에 관했는데도 왜 안되느냐?” 이렇게 질문하는데, 진짜로만 했으면 왜 안되겠습니까. 또 만날 자기 이외의 주인공으로 아니까 그렇죠. 진짜 자기라는 걸 어찌 모릅니까? 자기가 하고 자기가 거두는 걸 어찌 모릅니까? 세계적으로 종교를 모두 믿고 있는데 가만히 보니까 전부 타신에게 기도하고 상대를 보고 믿고 찾게끔 전부 그렇게 배우고 가르치고 있어요.
그러니 우리가 물속에서도 헤매고 물속에서 나오려고 그렇게 안간힘을 쓰고, 그 회오리바람이 불고 파도가 치고 이러는데도 죽고 사는 걸 헤아리지 못합니다. 또 자식을 낳고, 알을 낳고도 다 그냥 몸소 자기 몸을 던져서 죽어 버리고 이러는 시련을 겪으면서 진화가 돼서 땅 위로 올라왔는데 땅 위에서도 지금 물주머니에서 벗어날 수가 없는 이런 형국이 돼 있단 말입니다. 그런데 딴 형상을 믿거나 딴 데 이름을 믿거나 허공을 믿거나 이렇게 하겠습니까? 만약에 그렇게 한다면, 부처님께서도 “공덕이 하나도 없느니라. 이득이 하나도 없느니라.” 했습니다. 그래서 “너부터 먼저 알아라.” 한 겁니다.

그래서 여러분을 먼저 알게 하기 위해서는 도저히 그 방식이 아니라면 안 되기 때문에, 구멍은 한 구멍이니까 그 한 구멍에다 놓고 가게, 바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되죠. 주인공 탓을 하지 말고, 가만히들 생각해 보세요. 모두 자기 탓이죠. 주인공이라는 것은 이름입니다, 이름. 여러분의 이름. 왜냐하면 고정됨이 없이 끝없이 돌아가니까. 보는 거 듣는 거 모두가 고정됨이 없으니까 주인공이라고 했던 겁니다. 그래서 모두 주인공 죽는 법은 없죠.
이 주인공에서 나오는 거 주인공에다 되놔라. ‘네가 저지른 거라면 네가 해결을 할 수밖에 없잖아. 네 머리가 잘못 돌아가서 잘못된 거라면 너만이 해결할 수 있다.’ 하고 그 모든 거를 거기에 맡겨 놓는다면 이 몸속에 있는 모든 의식들이 털구멍을 통해서 나가서 다 조절을 하는 겁니다, 둘로 보지 않으니까. ‘주인공!’ 하면 전체 거기 하나로 묶어져 있는 거니까 말입니다. 개별적인 자기를 내세우는 게 아니라 포괄적인 자기가 되는 거죠. 몸속의 생명의 의식들도 모습들도 다 자기가 되는 거죠. 주인공 하나로 말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성품의 발견을 할 수가 없어요. 감응도 될 수가 없고요. 만약에 타신을 찾아서 어떠한 일이 생긴다 보인다 들린다 이런다면 그건 미치는 발광쟁이가 되죠. 내면의 자기 주장자에 의해서 공부하는 사람들은 절대적으로 잘못되는 일이 없어요. 정의 정당 하게 생활을 하게 만들죠.
그러니까 “나는 관했는데도 왜 안 됩니까? 나는 관하는데도 안됩니다.” 이런 말은 절대 하지 마세요. 왜냐하면 자기가 자기를 모르고 주인공 따로 있는 줄 알고 그렇게 재주를 부리는 짓을 하니까 그게 안되죠. 진짜로 자기인 줄 알아야 됩니다. 진짜로 말이에요. 그래서 과거에 살던 자기가 현실에 사는 자기와 둘이 아닌 주인공이 바로 자기를 이끌어 나가는 겁니다. 이끌어 나가게 만드는 거죠.
고인 물을 그냥 둔다면 썩어 버리지마는 자꾸 새 물이 들어오고 고인 물이 나가고 이렇게 한다면 그 물은 아주 청수가 되는 겁니다. 마음을 내지 않는다면 목석이 되는 것이고 또 발전이 없어요. 그러나 마음을 내면서 자꾸 굴리면 바로 물리가 터지고 지혜로운 생각이 자꾸 넓어져서 자기의 성품을 발견하는 거죠.

여러분도 공부하시면서 알고 모르고 간에 발견이 돼서 해 나가는 분도 있으실 테고 또는 감응이 돼서 희미하더라도 ‘아, 이거로구나!’ 하고 알고 가는 분들도 있고 그렇지만 십 년 이십 년 삼십 년 공부를 해도 그 도리를 모르고 지내는 분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그런데 한 구멍에 들이고 내는 것이 바로 자기 주인공이 하는 거라는 것만 알면은 아주 쉽습니다. 자기 따로 있고 주인공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자기가 즉 주인공이라는 얘깁니다. 주인공이 전체 하는 일을 주인공에다가 되놔라 이겁니다. 그래야 앞서 입력됐던 것, 자기가 저질렀던 일들이 다 소멸되면서 새로 넣는 그 입력이 새로이 나오는 겁니다. 이 말을 수차에 걸쳐서 해 드렸는데도 그게 납득이 잘 안되고 그러죠?

하여튼 여러분 각자가 그대로 주인공이라는 것, 여러분 각자가 그대로 주인공이며 그 주인공이 일체를 다, 과거도 현재도 지금 하고 가는 것이라는 걸 잘 아셔야 합니다. 그런데 일체를 다, 그 주인공 놈이 한 거니까 ‘주인공, 네가 알아서 잘 이끌어 가야 하지 않아?’ 하고 거기다 되놔라, 되놓는 작업을 해라 이겁니다. 처음부터 부처를 찾기에는 너무 이르고 그러니까 그저 그렇게만 한다면 스스로 성품이 살금 살금 살금 발견이 되는 겁니다. 이렇게 자세히 일러 드렸는데도 허겁지겁 부처를 찾으려고 애를 쓰고 허겁지겁 그냥 날뛰고, 허겁지겁 아무 이름이나 부르고 무꾸리나 하러 다니고, 급하면 그냥 아무한테고 다니면서 묻고, 아무 절에나 이리저리 그냥 다니면서 기복으로 물들고, 이렇게 하신다면 십 년 이십 년이 가도 절대로 자기 성품을 발견할 수는 없는 겁니다.

과학과 심성과학에 대해서
질문 어느 책에서 과학은 발견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하는 가운데에서 느낌으로 아는 것이라는 얘기를 읽었습니다. 결국 여러 가지 이것저것 연구를 하다가 우연히 발견을 한다는 얘기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궁극적으로 과학의 발견은 종교적인 데에 이르게 된다는 말이 있는데, 이것이 큰스님께서 말씀하신 심성과학과도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그대로 우리 생활이 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변하고 부서지고 또는 모두 모였다 흩어지고 책정을 하고 이렇게 하는 생활이 그대로 과학인 것입니다. 그런데 과학과 선(禪), 과학은 선이라는 그 자체와는 다릅니다. 이 과학은 과학대로 나를 먼저 발견하고 둘이 아닌 도리를 알아 가지고 둘이 아닌 나툼을 알아야만이 100% 간파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수소폭탄을 과학적으로 만들었다 하더라도 그 수소폭탄 있기 이전이 있습니다. 그것을 말합니다. 천체망원경이 100%라 할지라도 전체 볼 수가 없습니다. 듣는 것을 전체 무전통신기로 듣는다고 하더라도 전체가 아니 됩니다. 또는 남의 속을 탐지기로서 다 안다고 하더라도 그거는 그렇게 될 수가 없습니다. 또 과거를 전체 알 수가 있다고 하더라도 전체 알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인간이 넣어 주어야 알 수 있고 나오는 겁니다. 팩시밀리가 가고 옴이 없이 가고 온다고 하더라도 물질을 넣어야 물질이 나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처님이 일러 주신 이 길의 진리는, 그래서 평등공법(平等空法)이요, 칠활궁공법(七活宮空法)이요, 팔수레공법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 도리는 너무나 묘해서 심안으로 볼 때는 빛보다 더 빨리 천체를 간파할 수가 있고 듣는 것은 듣지 않는, 즉 말하자면 무심도리(無心道理)까지, 하다못해 지렁이가 기어가는 것까지, 꽃이 한 송이 피는 것까지도 서로 이심전심으로 통과가 된다는 얘깁니다. 그런데 어떻게 과학으로써 해결을 하려고 합니까?
과학의 바탕은 일체 마음으로부터 나오는 거기 때문에 내가 마음내기 이전을 먼저 간파해야 마음을 내서 과학이라고 발전을 할 수 있고 일체 만법에, 모든 걸 분야에 맞게 할 수 있죠. 근본이 마음이니 마음 떠나서 뭐 있겠습니까.

놓는 것과 의단을 내는 것에 대해서
질문 일체를 놓는 공부를 하다 보니까 내 마음속에서 일체의 생각이 일어나는 것을 바라보게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일체의 생각을 바라보다 보니까 육근(六根) 육적(六賊)이 내 집을 차지해서 이렇게 휘젓는 것도 바라보게 됩니다. 큰스님께서는 주인공에서 그 의단이 자생적으로 나온다고 말씀하셨는데, 일체를 놓는 것과 의단을 내는 것과 가끔 가다 혼동이 됩니다. 그것에 대해서 말씀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 일체를 놓는 거라고 하는 거는 우리가 지금 걸어오셨지만 뒷발자취를 남기지 않고, 짊어지지 않고 오셨습니다. 고정됨이 없이 그냥 돌아가는 겁니다. 그래서 본래는 그냥 놓고 가는 거죠. 놓고 간다는 말 자체도 할 게 없는 거죠. 그런데 그것을 모르기 때문에 만날 마음으로 끼어잡고, 착을 두고, 욕심을 두고 모두 이렇게 하니까 그걸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 되풀이해서 말씀해 드리는 거죠.
그러니까 망상도 망상이 아니라 그대로 자생을 길러내는 원소 자체의 과정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겠고요. 그러니까 망상이라고 할 게 없다 이런 거죠. 그 생각 생각이 나지 않는다면 목석이지 그게 사람입니까? 그러니까 망상이다 하는 관념 그것을 떠나야 되겠습니다. 그럼으로써 ‘놓는다.’ 하는 것은 ‘이게 뭣고.’ 하기 이전에 직접 들어가는 겁니다. ‘내가 한 일은 내가 해결할 수 있다.’라는 얘깁니다. 과거로부터 이끌어 온 주인이 모든 것을, 몸을 시자로 끌고 다니면서 아프게 했으면 제 시자를 제가 낫게 할 수 있고 또 이끌어 갈 수 있고, 화목하게 할 수 있고, 모든 일체 만법은 다 그놈이 하는 일이니 그놈 탓으로 돌려야 하고, 그놈으로 하여금 모든 길을 인도한다는 걸 믿고 가야 합니다.

그러니까 눈을 번연히 뜨고도 쉬는 그런 자체가 돼야 그것이 진짜 놓는 것입니다. 우리가 놓는다 그러니까 “다 놓고 어떻게 삽니까?” 이렇게 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냥 그대로 하는 것이 놓는 겁니다. 내면에 그대로 들이고 내는 거.
이거 보십시오. 그거를 모르시겠걸랑 들이는 숨, 숨 쉬는 것 있죠? 들이는 숨 자체가 없다면 죽고, 내쉬는 숨 자체가 없다면 죽습니다. 그러면 들이고 내는 숨을 쉬는 것은 어떤 놈이 쉬고 있습니까? 그와 같이 일체 만법을 들이고 내는 데에 여러분이 계시니까 들이고 내죠? 여러분이 계시지 않다면 들이고 낼 것조차도 없죠. 그리고 여직껏 수억겁 광년으로부터 끌고 온, 진화시키면서 끌고 온 장본인, 지금까지도 끌고 가는 이런 장본인 주인이 아니라면 간파를 못하니까요. 그 주인이 있다는 것을 증명도 못하니까요. 그거는 사람의 마음으로써 다스려서 놓는데 아주 간파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주인공 자리에다가 놓는 것이 바로 의단을 해결하는 지름길이다. 그래야만이 의단도 대 의단이 나오지 의단을 일부러 지어서 한다면 그거는 빈 맷돌 돌리는 거와 같다 이 소립니다.
내가 한때 이런 예가 있었습니다. 이 길이 대로(大路)의 길이 아니니라. 정말 발도 떼어 놓을 수 없는 그런 산골, 아주 그냥 천야만야한 데를 그게 길이라고 하는 겁니다. 그럴 때 어떻게 생각을 했겠습니까? 마음은 체가 없어서 지구 바깥에도 나갈 수가 있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마음의 도리를 배우는 사람들이 육신의 길만 찾아서 다닌다면 그거는 기지도 못하고 서지도 못한다 이 소립니다. 우리가 자기 마음의 거미줄에 얽혀서 발목을 못 빼면 일어설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모든 것이 실험이 되고 또 체험이 되고 이런다면 스스로서 놓을 것이 아무것도 없어요. 그대로예요, 그대로. 그대로 들이고 내는 그놈이 한다는 그 한 가지 믿음만, 뜻만이 남지 아무것도 없어요. 그러니까 얼마나 묘하고 얼마나 무변하고 얼마나 광대한지, 자기도 모르게 어떤 때는 싱긋이 웃을 때가 있습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