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가 이 세상에 나서 살면서 왜 자기를 의심합니까

▲ 그림 최주현

지금은 훌떡 넘어서야 할 세상입니다.
수박을 놓고 ‘이게 뭣고.’ 하기 이전에
그냥 무조건 수박 속으로 들어가는 겁니다.
우물쭈물하다가 자전거에 치이듯이
우물쭈물해서 되는 게 아닙니다.
그냥 그대로 잘라 먹고 넘어가라 이겁니다.


한결같은 믿음으로 공부하고 싶어요
문) 공부를 해나가다 보니 자신에 대한 믿음이 많이 강해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떤 때는 확실히 믿는 것 같다가도 어느 순간에는 자신이 없어지곤 합니다. 어떻게 하면 한결같은 믿음으로 공부를 할 수 있을는지요.

답) 우리는 생각하는 데에 이게 금방 믿었다가도 다른 큰 일이 생기면은 금방 그 믿었던 마음이 변하죠. 변할 때 그 지장이 얼마나 있는지 몰라요. 그거 모르실 거예요. 핏줄이 이렇게 돌다가 끊어졌다가 다시 이어지고 또 끊어졌다가 다시 이어지고 그러면 그 몸뚱이가 제대로 돌아가겠어요? 그와 같이 믿었다 안 믿었다 이렇게 그냥…. 이것이 그냥 뿌리가 있으니깐 있다. 그냥 있는 거예요, 그냥. 있는 건데 그렇게 사람의 마음이 간사해서 항상 이렇게 생각하고 저렇게 생각하고 이렇게 못 믿는 거죠. 그리고 큰 일이 생기면은 자기 생각에 그런 거죠. ‘이런 거는 정말 될 수가 없는 거다.’ 이렇게 생각이 또 되거든요. 이런 거는, 될 수가 없다 이런 거는 자기 생각에 그런 거지 딴 사람 생각이 그런 게 아니에요. 그리고 부처님의 뜻에서 그렇게 되는 게 아니고 그건 자기 생각이에요. 그러니까 자기 생각에서 그 간약한 마음이 나오는 거를 그 간약하지 않게끔 하려면은 자꾸 관해서 너만이 그렇게 가냘프고 마음이 약하고 믿지 못하게 만들지 마라 하는 조항도 있어야 되겠죠.

여러분이 이 스님네들한테 말 듣는 것만 가지고 깨친다 이러지 마세요. 너무도 말을 할 수가 없어요. 금은 금 있는 데 들어가서 녹이지 딴 거 넣습니까. 무쇠는 무쇠대로 무쇠 있는 데 무쇠가 들어가서 녹고 물건이 되지 딴 거 들어갑니까. 구리에는 구리가 들어가고 별의별 문제, 별의별 천차만별의 문제들이 그렇게 차원에 따라서 끼리끼리 만나게 돼 있죠. 사람들도 그렇게 끼리끼리 만나게 돼 있고요. 사람을 생산해서 자식을 낳는데도 그렇게 끼리끼리 만나게 돼 있고요. 이게 보통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깨치고 보면 한 나절을 울어도 시원치 않고 한 나절을 쳐다보고 웃어도 시원치 않다는 얘기가 있죠. 그래서 부처님께서 얼마나 가르치기가 어려우면 자기 제자들하고 같이 순행을 돌다가, 예전에는 사람이 죽으면 그냥 갖다가 그 관에 담아서 놓기도 하고 거적으로 말아서 이렇게 갖다 놓기도 하고 그래서 새들이 모두 쪼아 먹기도 하고, 외려 골을 빨리 쪼아 먹으라고 터뜨려서 놓기도 하고, 이런 시대가 있었거든요. 그런 시대에 부처님께서 그 뼈다귀 놓인 거 보고서 그렇게 진실하게 절을 하시거든요. 그러니까 따라갔던 그 제자들이 어떻게 생각했겠습니까.

‘저분은 참 모자라니까 저렇구나.’ 하는 생각도 했을 거고, ‘저렇게 지덕이 있고 저렇게 깨치신 분이, 사생자부이신 분이 어떻게 저 뼈다귀에다 절을 하는가.’ 이렇게 생각했을 거란 말입니다. 얼마나 기가 막히겠어요. 모르니깐.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그걸 ‘우리 할머니일 수도 있고 할아버지일 수도 있고 부모일 수도 있고 형제일 수도 있다.’ 이 말 한 마디로서 이 세상의 일대사, 즉 말하자면 미생물에서부터 수없는 겁을 거쳐 나오면서 부모가 되고 자식이 되고 이렇게 돌아가면서 그 지탱을 한 그 이치를 다 아시고 그걸로다가 가르치신 겁니다. 그러니까 눈뜨고 이게 이치를 아는 사람은 그 말을 듣고 얼른 ‘아, 이거는 이런 거구나.’ 하고 빨리 깨닫지만 그 눈을 뜨고 귀를 뜨지 못한 사람들은 그거를 듣고도 그냥 그런가보다 이렇게 했고, 지금으로 치면 ‘저 스님 돌았잖아. 저거, 저거 어떻게 잘못 된 거 아냐?’ 이렇게 생각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게 아니거든요. 이게 말이 그렇지, 내 부모 아님이 없고 내 자식 아님이 없고 내 형제 아님이 없느니라. 이거는 사람뿐이 아니라 이 흙속에 있는 생물도 다 생명이 있고 나무가 서 있는 것도 다 생명이 있고 돌이 서 있는 것도 다 생명이 있느니라. 그러니 어느 거 하나 빼놓은 게 없다 이거죠. 그러니 이 이치를 어찌 그 말로만 듣고 다 알겠습니까.

그래서 예전엔 깨치는 거를 그렇게 제일로 쳤죠. 너는 껍데기니까 네 알맹이를, 말로 막하자면은 네 껍데기를 보고 너라고 생각지 말고 네 알맹이를 찾아서 진짜 너를 찾아보아라. 너를 찾아야 이 물질세계와 이 무의 세계가 같이 혼합이 돼서 돌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세상이 어떻게, 진리가 이떻게 돌아가는 걸 알 수가 있습니다.
천차만별의 물질들이 전부 그냥 차원에 따라서 인연이 돼서 만납니다. 그런데 생각들 해보세요. 어른들은 자식들을 자식들은 어른들을 이렇게 해 가면서 원망을 하면서 살죠. 때로는 원망을 하고 때로는 고맙기도 하고 때로는 별의별 생각을 다 해보고 살죠. 환경에 좇아서 말이에요. 그런데 끼리끼리 무쇠는 무쇠대로 들어가서 만남이 있었다 이런다면 무쇠끼린데 무엇을 원망하고 무엇을 미워하고 예뻐하겠어요. 서로서로에 똑같은 인연들인데. 자기 부모가 금이라야 금이 돼서 들어가고, 금 될 수 있는 가치가 있어야만이 금이 금으로 들어가고, 무쇠는 무쇠로 돼 있으니까 무쇠로 된 것이 나한테 오는 거고 그렇게 오는 겁니다. 그러니깐 천차만별로 돼 있는데다가 사람뿐이 아니니라. 사람은 사람의 모습만 사람이 됐지 진짜 사람으로 된 게 아니니라 이거예요. 그러니까 사람이라는 말은 들어갔어도 아직 사람이 못 돼서, 그 사람이 살면서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서 사람이 되고 짐승이 다시 또 도로 된다 이거죠. 정말 우리가 이렇게 움죽거리고 사니깐 이게 사는 건가보다 하고 그냥 이렇게 살아나가지만 이게 적지 않은 인생이 살아나가는 숙제입니다.

인생 한 철 보람 있게 살고 싶어요
문) 인간 되기도 어렵다는데 이렇게 인간으로 태어나서 무의미하게 살다 가고 싶진 않습니다. 그러나 지어놓은 인연이 많아서인지 저를 그냥 편하게 내버려두질 않네요. 어떻게 하면 인생 한 철 보람 있게 살다 갈 수 있을는지요.

답) 사람이라는 게 어느 집의 가정으로서 이렇게 한 모임을 가지고 한 식구라고 사는데요, 언제 적에 한 식구로 살았습니까? 영원합니까, 그게? 한 철 사는 겁니다, 한 철. 우리 스님네들이 한 철 나가서 살고 한 철 또 들어오고 이러는 거와 마찬가집니다. 한 철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한 철 이 집에서 모여서 살다가 또 헤어졌다가 다른 데 가서 또 한 철 삽니다. 그러니 네 부모 내 부모가 어디 따로 있습니까? 통틀어 본다면 네 부모 내 부모, 내 자식 네 자식이 따로 없어요. 더 크게 본다면 사생이 따로 없단 얘기에요. 너무 모습을 바꿔 가면서 진화돼서 화해서 자꾸자꾸 돌아가니까요. 그러니 내가 위대하고 잘나고 아, 참 조건 좋고, 내 이렇게 사니까 ‘이만하면 만족해.’ 이러지마는 그것도 틀린 거예요. 그것도 한 철이니까요.

그래서 인생은 나그네 한 철. 인생은 나그네의 길. 이것을 한 철이라고 보죠. 한 철이라고 하는 데서 볼 때는 여러분이 전부 나그네의 길이에요, 이게. 그러니 무슨 어디 내 남편 내 자식 이거 착 두지 마세요. 착을 두면요, 외려 더 걸려서, 법망에 걸리고 레이더망에 걸리면 가지 못하죠, 자꾸. 그렇듯이 유의 세계 무의 세계를 넘나다닐 수가 없어요. 그래서 옴치고 뛰지도 못하고 자꾸 걸려 가지고 되는 노릇이 없거든요.
그러니 모든 자손들과 남편과 아내, 형제, 모두 어떠한 일이 앞에 닥친다 하더라도 ‘그 모든 것을 주인공밖에는 해결 못한다.’ 주인공이 다 같거든요. ‘주인공 운전수가 다 끌고 다니는데 내 어찌 그것을 맘대로 하랴. 주인공밖에는 해결 못한다.’ 하고 믿으면서 딱 놔 버린단 말입니다. 그래야 이것이 발이 묶이지 않아요. 이 마음 자체가 체가 없으니까 발이 묶이지 않는 거죠. 그 마음으로다가 육신을 잘 끌고 다니는 거다.

잘못되는 것도 마음으로 지어서 잘못되거든요. 내가 꼭 저걸 괜히 하고 싶어요. 하고 싶어 가지고는 돈을 왕창, 돈 쪼끔 탄 거 가지곤 왕창 들여 가지곤 홀딱 집어먹고선 또 죽겠네 살겠네 하거든요. 그것도 자기 마음이에요. 그것이 너그럽게 볼 수 없는 그런 눈이기 때문에 어쩔 수가 없는 거죠, 육안으로만 봤기 때문에. 심안을 통해서 봤더라면 그것이 그렇지 않을 건데, 그게 그렇게…. 아니, 가난한 것도 그렇고 모두가 전부 보면 자기 탓입니다. 그 억지로 못해요.
그러니 우리가 내 마음에 놓는 공부를 하게 되면 그 다섯 가지가 계발이 된다. 그 다섯 가지가 계발이 돼서 오신통을 그대로 여여하게 할 수 있는 자유권을 얻을 때 그때 다시 체험을 하면서 또 보임을 한다. 이렇게 해 나가다 보면은 자연적으로 우주 법계가 다 공통점이 될 수 있어요. 우주 법계가 다 우리네 몸뚱이에 그 법계가 있는 거와 같이, 법망이 있고 법계가 있고 그렇듯이 그냥 전부 통해요. 즉 말하자면 그 통신망을 넘나든다는 얘기죠. 통신, 이 천체 통신. 통신이 잘되니까 심안으로도 밝게 볼 수 있고, 또 그게 통신이 되면 모습 없는 모습들이 즉, 천이, 신족, 타심, 숙명 이런 것이 다 발로가 돼서 동시에 용도대로, 아까 얘기했듯이 미리미리 그냥 이렇게 한생각이 나면 그냥 그 즉시 찰나의 살림살이에요, 그래서. 그대로 그냥 바깥으로 나오는 현실이에요. 불법은 생동력 있는 현실이지 죽은 게 부처님 법이 아니라는 얘기지요. 그러니까 심성과학이라고도 할 수 있죠. 이건 천체물리학이에요. 그러니 어찌 인간으로 태어나서 이 도리를 모르고 갈 수 있겠습니까.

좋은 반려자를 만나려면…
문) 결혼해서 힘들게 사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보면 차라리 그냥 계속 혼자 사는 게 낫겠다 싶은데 부모님께서 워낙 걱정하시는지라 갈등이 되기도 합니다. 평생 공부도반으로 지낼 수 있는 반려자가 생긴다면 좋겠습니다. 어떻게 마음내야 되겠는지요.
답) 그거는 마음을 내고 안 내고가 없어요. 자연적으로 이 마음공부 하는 사람들에 한해서 어떤 사람을 만나면은 아주 친근하게 생각이 되고 어떤 사람을 만나면은 아주 냉랭하고 그냥 담담하게 생각이 되고, 또 어떤 사람을 만나면 불쌍한 생각이 들고 그러죠? 그랬을 때에, 또 어떤 사람을 보면 공부를 잘하는 사람으로 보이고, 어떤 사람을 보면은 못하게 보이고, 어떤 사람을 보면은 그 집안 환경 때문에 아주 곤궁하게 불쌍한 사람이 있고, 시시때때로 각각 이렇게 보이는 게 있는데 그 보이는 거를 지혜로운 마음이라면, 불쌍하면 불쌍치 않게 모든 과거 미래 현재를 한데 싸서 주인공에다 놓으면은 그냥 삼세가 통하는 일이에요, 이게. 그래서 주인공이거든요. 그러니까 거기다 놓고 마음 한 번 탁 내 주면은 그쪽도 좋아지고 보는 나도 좋고 이렇게 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언짢다, 좋다, 밉다, 예쁘다 이런 거를, 모든 거를 놔라 하는 말이 그런 데서 오는 말이죠.

그러니까 아주 공부를 못하던 사람도 내 마음을 진정으로 내 줬을 때 다시 바꿔지죠. 그러니까 과거에 잘못해서 얽힌 것이 풀어지니까 그게 잘되는 겁니다. 또 나한테 아주 밉게 하는 사람, 나를 아주 귀찮게 하는 사람, 이런 사람을 볼 때도 ‘나를 귀찮게 안 하게 하는 것도 너뿐이야.’ 그렇게 생각나는 대로 관한다면은 거기까지 불이 들어가서 그 다음서부터는 성가시게 안 해요. 그리고 그 사람도 아주 착해지죠. 그런데 뭐가 걱정입니까? 여러분이 마음으로 하자는 대로 되는데 왜 걱정이에요? 왜 그렇게 의심들을 하고 왜 자기가 이 세상에 나서 살면서 자기를 의심하느냔 말입니다.

잘생겼든 못생겼든 모두가 자기 할 탓이라고 생각돼요. 편안하게 살고 편안치 못하게 사는 거는 자기 마음의 견해에 의해서 그렇게 산다는 것을 생각해요. 정말이에요. 나는 항상 그렇게 실천을 하고 나가는 사람이니깐 어떤 때는 내가 말을 해도 통하지 않는 사람들은 그 뜻을 모르지만 통하는 사람들은, 자기 주인공과 자기와 통하는 사람들은 죄 알아듣게 돼 있어요.
그러니까 어떠한 책을 보고 공부를 하더라도 그것이 댁에서 모두 하는 게 아니거든요. 수억겁을 진화돼서 형성되고 형성되면서 살아온 그 장본인이 자기 몸을 자기가 형성시켜 놓고 이끌고 가는 거거든요. 그러니 그 이름도 좋지만 그 자기 자불 주인공이 자기 이름을 자기가 해 놓고 이렇게 가거든요, 모두. 근데 사람이 이름 지어 주는 사람도 그렇고 이끌어 주는 사람도 그렇고, 그렇게 이끌려서 이름을 짓고 그렇게 자꾸 가면은 거기에 물이 들고 그래서 잘못되는 거죠.

하여튼 이 공부 할 때는 한눈팔지 말고 꼭 열심히, 죽을 때 죽고 살 때 살더라도 아이, 죽는 것은 누구나가 다 있지만 이 세상에 나온 곳도 없고 나온 곳이 없기 때문에 들어갈 곳도 없고 이 자리도 공해서 찰나찰나 화해서 돌아가니 그 또 마저 없더라. 한 발짝 한 발짝 떼어 놓은 사이도 없더라. 이렇게 알게 되면은 얼마나 흥락하고 좋겠습니까? 이 세상이 모두 밝고 자유스럽고 텔레비전에서 뭐, 은비 까비처럼 그렇게 사는 거예요. 아, 정말이에요. 그러니 얼마나 좋아요? 해결을 못해야, 은비 까비가 그걸 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은 아주 괴로운 세상을 살겠죠. 그러나 은비 까비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으니까 그게 괴롭지 않은 세상이죠. 어디나 억울한 사람 보면 억울한 대로 불쌍한 사람 보면 불쌍한 대로 여러분도 지금도 그렇게 할 수 있어요. 그렇게 하면서 자기를 공부시키는 거거든요.

모습 없는 일체 영령들도 물질과…
문) 『뜻으로 푼 천수경』 가운데서 ‘모습 없는 일체 영령들도 물질과 둘 아님을 알게 하옵소서.’ 라는 말이 있는데 알 듯도 하면서도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답) 모습 없는 의식이라면 스무 개, 백 개, 천 개, 이 허공에 꽉 찼다 하더라도 내가 한 번 마음을 쓰면 그게 한 마음이지 두 마음도 아니에요. 그렇죠? 그러니까 ‘한마음 되게 하소서.’ 한 거 아닙니까. 그거는 뭐냐 하면은 ‘한마음 되게 하소서.’ 하면 보는 사람이 그거를 퍼뜩 알아채서 ‘너가 그렇게 해라.’ 이 소리거든요. 그렇게 부처님한테다 비교해서 ‘내 마음을 빨리 지혜롭게 하게 하소서.’ 할 때도 자기가 그렇게 해라 이 소리지, 상대방에다가 기대고 하는 게 아니란 말입니다.

그래서 어떤 집은 이사를 가 가지고 영계가 있다고 해서 그냥 모두 야단들을 하고, 어떻게 했으면 좋으냐 하고 난리들을 벌이고 뭐, 사람이 자꾸 죽어 나간다 뭐 어쩐다 이러는데, 그거는 모자라서 그런 거예요. 한생각이면 그냥 없어질 걸. 아이, 생각해 보세요, 글쎄. 그거를 ‘넣어도 두드러지지 않고 꺼내도 줄지 않느니라.’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거예요. 그러면 그 의식들을 전부 그냥, 악한 거든지 선한 거든지 다 내가 된다면 내 마음의 주인공에 한데 넣는다면 그냥 내가 돼 버리는 거죠. 내가 되니까 아무것도 없지 않습니까. 내가 돼 버리니까.
그런 데서 스스로서 자동적으로 재생이 돼서, 여기서 나가도 여기가 줄지 않는단 얘기에요. 마찬가지로 이건 마음, 영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영이 영한테 들어왔다가 영이 영대로 또 나가서 재생이 돼서 싹이 된다 하면은 그것 참 좋은 일이고, 재생을 시키니 좋은 일이요, 그 집에 그런 우환이 없어지게 하니 좋은 일이요, 그 도리를 아니까. 떳떳하니까. 이 세상에 주인이 되니 좋은 일이요, 진짜 부처가 되니 좋은 일이요. 그 얼마나 좋은 일입니까.

그런데 그거 하나를 가지고 온 가정이 그냥 뭐 죽을둥 살둥 하거든요. 그러니 이 공부 하나 잘한다면, 한 가정에 한 사람이라도 잘한다면은 그 가정은 아주 편안하게 나갈 수 있을 거다 하는 겁니다. 그런데 공부를 한다면서 그냥 왔다 갔다 하다가 우물쭈물하다가 그냥 일이 닥치면 “나는 주인공을 찾았는데도 그래요.” 하고 이렇게 하거든요. 그러니까 이게 내가 가르치는 대로, 이끌어 가는 대로만이 똑 부러지게 잘들 한다면 정말 이 세상에 더없는 으뜸한 자유인이 될 것입니다.

화두를 들고 공부하는 것은
문) 참나를 찾기 위해 관하는 방법 외에 화두를 들고 공부하는 것은 어떤지요.

답) 아니, 화두가 또 따로 있나요? 이 수박을 내 몸뚱이라고 합시다. 수박을 놓고 요놈이, 이 주인공이라는 놈이, 요놈이 뭘꼬 한다면, 이게 물론 관이라고도 할 수 있고 참구라고도 할 수 있죠. 그러나 ‘요놈의 게 뭘꼬?’ 하고 평생을 돌아봐야 이건 맛을 못 봐요. 맛을 몰라요. 수박을 놓고 그냥 무조건 넘어서야 된다 이 소립니다.
무조건 이 마음의 칼로 쪼개서 맛을 봐라 이겁니다. 그러니까 주인공에 모든 것을 맡겨 놓고 ‘거기서만이 내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 줄 수 있다.’ 이렇게, 아예 무조건 들어가는 겁니다, 그냥 수박 속으로. 수박을 놓고 ‘이게 뭣고.’ 하기 이전에 그냥 수박 속으로 들어가는 거예요, 무조건.

지금은 훌떡 넘어서야 할 세상이에요. 그렇게 빨라요. 우물쭈물하다가는 자전거에 치이듯이, 우물쭈물해서 되는 게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대로 그냥 잘라 먹고 넘어가라 이겁니다. 부처님이 앞에 있어도 그냥 먹고 넘어가라 이 소리에요. 일체 만법을 다 거기다가 맡겨 놓고 넘어가는데, 고놈만은 왜 놓질 못하고 고놈만, ‘고놈이 뭘꼬?’ 하느냐 이 소립니다. ‘고놈 뭘꼬?’ 하기 이전에 그냥 그놈도 집어삼키고, 꿀떡 삼키고 넘어서라 이겁니다. 그럼 맛을 알게 될 거다 이거예요, 고놈 맛을. 고놈이 뭘꼬 하고 아무리 그래 봤자야 그냥 울타리 밑에서 맴도는 거와 같아요. 그러니까 그놈을 꿀떡 집어삼켜서 먹고 넘어서서 길을 걸어라 이겁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