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생활화를 위한 제언

행불선원장 월호 스님은 한국사회의 불자들은 다수의 기복신앙인과 극소수의 참선수행인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월호 스님은 “불교 사찰은 대부분 산중에 머물다보니 정기적인 교육보다는 일시적인 기도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많다”며 “따라서 계율이 무엇인지 계율을 지키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월호 스님은 수행이 자비나눔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 “소수의 참선수행인 또한 현실을 떠난 수행에 집중하다보니 독경과 봉사활동에는 소홀해지기 쉽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웃종교에 비해 수행과 봉사활동을 적게 하는 불교계 현상에 대해서 배광식 국제포교사회 명예회장은 “한국불교라는 돌밭에 부처님의 가르침이 먼지가 수북이 쌓인 채 천덕꾸러기처럼 이리저리 굴러다니고 있다. 이웃종교에서 마음대로 이를 가져다가 갈고 닦아 쓰고 있다”며 “이웃의 행복과 이익을 위해, 둘이도 가지 말고 혼자서 가라시던 부처님의 간절한 말씀과 숨결을 이 시대에 새로운 생명력으로 살려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행의 생활화를 위해서는 불교수행의 체계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월호 스님은 “현실을 떠나 산중에서 하는 수행이 아닌, 현실에서 할 수 있는 수행을 가르쳐야한다. 불교수행은 마음공부로 정의되지만, 마음공부에도 단계가 있다”며 “하심, 일심, 무심, 발심의 순서로 공부해야 한다. 이렇게 모든 수행을 마음공부와 연관 지어 체계화해야 바로 지금 여기에서 생활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 회장은 “부처님의 가르침은 매우 쉽고 명쾌하고 합리적이며, 실천가능하고 지금 여기에 행복과 이익을 가져다주는 가르침이다. 불자들의 불교상식을 짚어보는 면접과정에서 경험한 바로는, 현재 한국불교에 오래 몸담아온 불자들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애매모호하게 받아들이고 방향을 잃은 불자들이 많음을 발견했다”며 “부처님의 쉽고 위대한 가르침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몸소 이를 체현함을 보이는 선지식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불교가 수행과 봉사의 종교로 거듭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대만의 자제공덕회의 예를 든 월호 스님은 “대만불교의 성공이유는 체계적으로 잘 교육받은 대중의 일부가 후원자로, 일부는 봉사자로, 또 일부는 출가자로 대만불교를 지탱해나가고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님은 “한국불교 또한 지금부터라도 현실에 입각한 수행과 마음공부를 체계적으로 교육함으로써 진실한 불자를 만들어나가야 한다”며 “바로 지금 여기에서 몸과 마음을 관찰하고, 아는 만큼 전하고 가진 만큼 베푸는 불자를 꾸준히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광식 회장은 “고요한 물과 같은 부동심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워 온전히 믿고 이해한 후, 실천 수행으로 스스로 맑아져 안심과 행복한 생활을 누리는 씨앗들이 이곳저곳에 생기도록 한다면, 그 빛이 자비로 퍼져 이 땅을 맑고 행복한 땅으로 만들 수 있다”며 “내가 그 씨앗이 되고자 한다면 부처님의 훌륭한 가르침이 요원의 불길처럼 퍼져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