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쟁아카데미·시민행성 조성택 교수(고려대)

3강 붓다 출현 그리고 ‘불교’의 문명사적 의의: 귀환과 출가

“나는 신도 인간도 아니다

나는 붓다이다”

붓다는 깨달아 변화된 존재

이성적 지식으로 바라보면

부처님 왜곡·본질 놓칠 우려

▲ 조성택 교수는 … 1957년 부산에서 출생했다.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을 전공했으며, U.C 버클리에서 인도 초기 대승불교의 성립에 관한 연구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9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스토니부룩 뉴욕주립대학 비교종교학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2002년 3월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계간 〈불교평론〉,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 인문학 단장,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철학회 편집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 불이상(학술 부문), 2011년 불교평론 ‘올해의 논문상’을 수상했다.

현재 우리가 불교를 바라보는 시선을 신비적 관점과 이성적 관점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어머니한테 부처님은 신이셨습니다. 집안에 일이 있을 때마다 무조건 비는 겁니다. 신비주의적 관점에서 불교를 믿으신 거죠. 이는 요즘도 수험생 합격발원 기도하는 곳에서 볼 수 있죠. 하지만 이런 불교는 하느님을 믿는 것과 전혀 다를 바가 없습니다. 그런데 70~80% 불자가 이걸 안 하면 불교를 믿을 이유가 없다고 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불교는 시공을 초월한 진리가 되고 출가자들은 수행자가 아닌 종교적 권위의 상징, 붓다의 대리자가 됩니다. 기복종교, 무속적 불교로 전락하게 되고 출가자의 전횡과 오만이 난무하게 됩니다. 결국 상식적 이해와 수행이 결여 되면서 무지몽매한 범부우치를 대량 생산하는 동시에 종교의 기업화 비즈니스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결국 타종교 혹은 사회의 다른 부문과 소통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성적 이해는 또 어떤가요? ‘합리성’과 ‘이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불교적 본질을 놓칠 우려가 있습니다. 불교를 철학화해 종교로서의 불교가 지향하는 ‘초월성’을 간과하게 되죠. 현실불교라는 측면에서 이성적 이해방식의 악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만, 신비주의적 관점의 문제점을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는 전제하에 본 강좌에서는 이성적 이해가 갖는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합니다.

 

사상으로서 불교의 특징

불교를 이성적·합리적 지식으로 이해하는 지식인들은 불교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인 양 착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불교란 지식화·교리화 되어 있으며 실천론을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부처님은 철학자이고 사상가이며 불교라는 종교의 교주입니다.

이들은 부처님의 깨달음에 대해 경전에 신비롭게 묘사해 놓은 ‘꽃비가 내리고…’ 같은 구절들을 제외시키고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비적 수사적 장치도 중요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를 하나의 철학 체계로만 이해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불교의 본질을 놓치고 있는 것이죠.

자 그럼 불교는 철학입니까 종교입니까? 서양에서 말하는 철학은 이성으로 이해하고 입증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불교는 철학이 아닙니다. 또 서양인들이 말하는 종교는 초월적 절대자에 대한 믿음과 구원의 추구를 말하죠. 이 관점에서 볼 때 불교는 또 종교가 아닙니다. 그럼 불교는 무엇인가요? 만해 스님께서는 이런 논리에 대해 불교는 철학인 동시에 종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근대 이후 사람들은 철학적 진리는 하나만 존재한다고 믿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불교에서는 수행의 정도에 따라 각자의 정신적 경지와 세계가 다르다고 합니다. 3천의 중생이 있다면 3천의 세계가 있는 거죠. 각자의 업에 따라 보는 세계가 다 다른 거죠. 이건 굉장히 중요한 말입니다. 그러니 내 업이 바뀌면 세계가 바뀌게 되죠. 그래서 불교에서 말하는 ‘진제’라고 하는 것은 무한한 스펙트럼으로 무한한 진리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실재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말이죠. 수천 수만 개 무량수의 실재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런 기본적인 세계관에 대한 이해 없이 서양 철학을 바탕으로 불교를 바라봐서는 불교를 오해하기 쉽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만해 스님께서는 불교는 철학적 종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성으로 이해하고 초월적 절대자의 믿음과 구원을 추구한다고 말이죠. 만해 스님은 철학적 종교라는 말을 처음 한국에 소개했습니다. 사실 동양사상에서 철학과 종교는 분리되지 않습니다. 그냥 성인의 가르침으로 이해되죠. 서양에서는 구원이라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고 유일신만이 종교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구원은 불교 철학에도 들어가 있습니다. 가피, 정토신앙, 수행 이런 것들은 구원의 문제를 핵심으로 다루고 있죠. 그러니 불교는 이성과 정서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붓다란 누구인가?

붓다(Buddha)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살펴볼까요? 현대 불교학의 입장을 살펴보면 초기불교에서는 인간(스승)으로서의 ‘붓다’를 강조하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신(神)적 존재로 변모합니다.

19세기 영국은 자신들의 관점에서 불교를 재구성하고 해석했습니다. 이는 빅토리아 시대의 여러 관심사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불교 또한 유럽의 19세기 이상형(ideal)을 형성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했습니다. 영국의 식민지로 있던 스리랑카에서 팔리어 문헌을 가지고 온 영국인들이 재구성한 부처님은 마틴루터보다 훨씬 더 앞선 종교개혁가로, 바라문 계급을 타파하고 무소유 공동체를 형성한 인류 최초의 막시스트로 또 시대의 뛰어난 철학자로 정리해놓았습니다.

빅토리아 시대에 가장 이상적 인간을 말하자면 냉철한 감정과 차가운 이성을 가진 젠틀맨입니다. 마음이라고는 없는 이성적 지적인 전형을 부처님이라고 본 것입니다. 이런 배경에서 독일의 작가 헤르만헤세가 유럽의 여러 정보를 수집해 <싯다르타>를 쓰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부처님은 인류를 구제하는 부처님이 아니라 고뇌하는 철학자의 모습입니다.

이를 근대 이후 한국인들은 불교의 장점인 양 생각하고 역사적으로 실존하는 철학자 부처님이라는 한쪽 면만을 부각시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문제의 소지가 많아지는거죠. 부처님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명치유신 초기에 근대적 합리적 이성적 과학의 세계를 이룩하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에 불교를 없애려고 박해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유럽에 엘리트들을 유학 보내보니 자신들이 버리려했던 불교를 열심히 공부하고 있더라는 거죠. 이들은 영국인들이 재구성한 불교를 보면서 이성적 체계적인 초기불교와 신화적 종교적 대승불교를 구분하고, 천편일률적으로 대승불교를 타락하고 열등한 종교로 전락했다고 단정 짓습니다. 일본의 불교학자 스에끼 다케히로가 1970년도에 쓴 책을 보면 이런 글이 나옵니다.

 

“인도사상에는 극히 주지적, 이지적인 것이 보인다. 그 좋은 예로 초기불교가 있다. 이 석가 재세 중의 불교를 보면 그것은 지금 우리들이 일본에서 보고 듣는 불교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일본불교를 말하면 (중략) 정서와 직관을 주로 하는 것으로 합리성이 모자라서, 불교라고 하면 무조건 반-합리적인 사상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불교가 합리적인 사상체계라고 하면 대개의 사람들은 깜짝 놀라는 것이다.”

하지만 브라흐만 도나가 부처님에게 질문을 하는 장면에서 우리는 이 이론 또한 동의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도나는 부처님께 “당신께서는 신입니까? 인간입니까”라고 묻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이렇게 대답을 하십니다. “나는 신이 아니다. 나는 인간도 아니다. 오 브라만이여, 나는 붓다이다. 그러니 브라만아, 세상에 태어나고, 세상에서 자랐지만, 세상을 극복한 뒤, 나는 세상에 더럽혀지지 않는다. 나를 붓다라 알라.”

부처님께서는 깨달음에 의해 변화된 존재입니다. 인간으로 자랐지만 깨달음에 의해 변화된 자이며 잠에서 깬 자인 것이죠. 

불교 경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그렇다면 불교 경전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불교는 명상·깨침의 체험에서 나온 깨달은 자의 진리로 견도쭭수도쭭무학도의 과정을 통해 ‘믿음의 진리’에서 ‘체득의 진리’로 전환된 것입니다. 이는 인식론·존재론적 차원의 변화입니다.

이를 불일(不一)과 불이(不二) 관점에서 살펴보죠. ‘불일’은 ‘多의 세계’ 언어·분별·이성·현실의 세계입니다. 이는 불교에 대한 이성적 이해로 경전을 언어적 이성적 차원에서만 이해한 것을 말합니다.

‘불이’는 분별 이전·깨달음·부처의 세계로 불교에 대한 신비적 이해로 중생즉불(衆生卽佛),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를 말합니다. 깨달음의 세계는 이성적 사유를 통해 알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 이를 ‘이언진여(離言眞如)’라고 합니다. 또한 ‘안다’고 생각하는 순간 ‘알고 있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알 수 없는 것’은 사라지고 맙니다. 그러나 ‘알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한 ‘알 수 없는 것’은 사라지지 않고 계속 남아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방법론적 무지’라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그 세계를 표현하고 있는 ‘경전 언어’를 통해 우리는 ‘알 수 없는 영역’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의언진여(依言眞如)]

왜냐하면 깨달음의 세계와 경전의 관계는 동일한 것도 아니지만(不一), 서로 다른 것도 아니기(不二) 때문이죠. 그리고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대상에 대해 일정한 ‘정의’(定義)를 내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야기’란 대상과 나의 언어적, 이성적 세계가 관련성을 맺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말로 ‘깨달음’의 세계에 대한 나의 담론 구성을 의미합니다.

서양에서는 말로 표현되지 않는 경험이란 없다고 선언했으며 불교에서 깨달음의 영역을 지워버렸습니다. 학자로 반드시 깨달음을 얻을 필요는 없지만 이 부분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성적 합리적으로 구성되는 것만 가지고 불교를 이야기할 수는 없습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