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 박구원
不二 의 도리 밝히면

그 자리는 늘 여여해

고해가 피안임을 알기에

어디서든 ‘안심입명’

 

장애가 곧 ‘알음알이’

이것이 망상 만드니

모든 지견 내려놓고

청정한 본심으로 돌아가야

 

불법 안팎이 따로 없으니

구족해 새로 얻을 바 없다

일심(一心)일 뿐이어서

중생과 부처가 무차별

 

다만 방편으로 허공에 비유하여 “원만하기가 태허공과 같아서 모자라거나 남음이 없다.”고 하였다.

‘태허공’이라는 것은 일체의 모양이 만들어지기 전 본래의 모습이다. 이것은 어디서 어디까지라고 한계 그어질 수 없으므로, 할 수 없이 비유하여 겨우 ‘허공과 같다’고 표현해보는 것이다. 위에서 인용된 구절은 삼조 승찬(僧璨)스님의 〈신심명〉에 나오는 말이다.

 

그저 한가로워 일삼을 것이 없어서, 다른 경계를 억지로 끌어들여 설명할 필요가 없다. 설명하려 들면, 바로 알음알이[識]가 되고 만다.

 삼승에서는 알음알이로 설명을 하기도 하지만, 일승에서는 그저 단도직입으로 계합해야 한다. 이 도리는 분별로써 얻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명안종사는 학인이 도를 물어올 때, 눈앞에 분명히 드러난 실상을 즉각 보여준다. 이때 인연 있는 사람은 바로 계합하여 끝내버리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처음 가졌던 의심이 설상가상으로 더 깊어지는 것이다. 선(禪)은 언제나 알음알이가 아니라 의심을 소중히 여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원성실성(圓成實性)은 의식의 바다에 잠겨서 나부끼는 쑥대처럼 유전(流轉)하네.”라고 하였다.

 원성실성(圓成實性)이란 본래자리를 말한다. 중생은 인연 따라서 한 생각이 일어나면 곧 따라나서기 때문에, 본래 자리를 상실했다고 오해하고 부평초처럼 떠돈다. 그래서 고해(苦海)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불이(不二)의 도리를 밝히면, 망념이 일어나든 말든 그 자리는 늘 발밑에 여여하게 놓여있다. 항상 진리를 밟고 사는 사람은 고해가 그대로 피안임을 사무쳐 알기에, 어디서든 안심입명이다. 위의 말은 부대사(傅大士)가 〈금강경〉에 붙인 게송에 나온다. 이어지는 대목은 “남이 없는 진리를 깨닫고자 할진댄, 마음 밖의 자취에 끄달리지 말지니.(欲識無生忍 心外斷行?)”이다.

 그대들은 말한다. “나는 알았으며, 배워 얻었으며, 계합해 깨달았으며, 해탈하였으며, 도리를 얻었노라.” 하지만 자신 있는 데서야 뜻대로 된다 하더라도 본인이 약한 데서야 그 뜻이 통하지 않으니, 그따위 견해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내 그대에게 이르노니, 한가하고 일 없도록 하여 쓸데없이 마음을 쓰지 말라.

 평소 자신 있는 곳에서는 통하더라도, 사고라도 당해서는 혼비백산 한다면 그 공부는 아직 멀은 것이다. 황벽스님은 배휴에게, 자꾸 쓸데없는 질문을 늘어놓아 괜히 스스로의 마음만 엉키게 만들지 말고, 모든 알음알이를 내려놓고 일없음[無事]에 착안하라고 일러준다. 배휴는 황벽스님과의 첫 만남에서 뭔가 통한 바가 있었기 때문에, 이제는 알음알이를 쌓는 공부가 아니라 모든 지견을 내려놓고 묵묵히 본래 일없고 청정한 본심으로 돌아가도록 당부하는 것이다.

 그래서 “참됨을 구할 필요가 없나니, 오직 모든 견해를 쉴지니라.”고 한 것이다.

 한 번 마음을 밝혔으면, 이제는 내려놓고 쉬면서 믿음을 다져야 한다. 여기서 분별심이 일어나고 갈등이 생기더라도, 믿음에 의지하여 알음알이를 내려놓는 쪽으로 나가야 한다. 이 공부를 방해하는 가장 커다란 장애가 알음알이다. 배휴는 평소 지식인인데다 불교공부를 많이 하여, 마음에서 알음알이가 자꾸 일어나 스스로 망상을 만들고 있다. 그래서 조사들께선 마음을 밝히기 위해 수행에 임할 때는, 그동안 배운 것을 내려놓는 ‘사교입선(捨敎入禪)’을 하라고 당부했던 것이다. 위의 말은 승찬스님의 〈신심명〉에 나오는 구절이다.

 그러므로 “내적인 견해와 외적인 견해가 모두 잘못이며, 부처의 도와 마구니의 도가 모두 나쁜 것이다.”고 한 것이다.

 불법은 중도(中道)로서 언제나 불이법(不二法)이기에, 안팎이 따로 없다. 또한 본래 구족하여 새로이 얻을 바가 없기 때문에, 새삼 부처의 도를 구할 바도 없고 마구니의 도라고 없앨 바도 없다. 그저 부증불감(不增不減)인 것이다. 또한 일심(一心)일 뿐이어서, 번뇌 즉 보리이며, 중생과 부처가 무차별이다. 선(善)을 세우기 위하여 악(惡)을 없애려는 순간 상대적인 이분법에 떨어지므로, 진정한 선(善)은 선악이나 시비가 끊어진 중도 자체인 것이다. 위의 인용은 보지(寶誌)화상의 〈대승찬(大乘讚)〉에 나오는 구절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수보살이 잠깐 상대적인 견해를 일으켰다가, 그만 두 철위산으로 떨어진 것이다.

 철위산이란 세상의 끝에 있는 지옥과 같은 곳이다. 아무리 문수보살이라도 상대적인 견해를 일으키자마자, 바로 본지풍광과는 십만팔천리로 멀어지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제불요집경(諸佛要集經)〉에 나오는 대목이다.

 문수보살은 참된 지혜고 보현보살은 방편의 지혜라고 한다. 하지만 서로 상대되는 참과 방편이 구경(究竟)에 이르러 참도 방편도 사라지면, 오로지 한 마음뿐인 것이다.

 부처의 또 다른 그림자가 문수·보현을 낳았으니까, 문수·보현도 부처로 귀결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니까 구경에 이르면, 참도 방편도 다 사라진다는 것이다. 다만 여래께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참도 필요하고 방편도 필요해서, 팔만사천 법문을 통해 인연의 끈을 열어놓은 것이다. 구경이란 근본 실상자리인데, 방편으로야 따로 구경에 이르러야 한다고 말하겠지만, 본연의 입장에서는 직하에 구경이고 선 자리가 그대로 진실되기[立處皆眞] 때문에 따로 구경을 논하지 않는다. 범부는 다만 미혹해서 선 자리가 그대로 구경처인 줄 모르는 것일 뿐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