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찰의 계단에 난간을 설치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계단돌과의 조화도 필요하다. 경북 ㅂ사찰
우리나라 사찰은 산지에 지어진 관계로 건물과 마당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 여러 단으로 나뉘어져있다. 그렇기 때문에 맨 아랫단 일주문이 있는 공간으로부터 맨 윗단 대웅전이 자리잡고 있는 공간까지 올라가려면 단과 단을 연결한 여러 개의 계단을 거쳐야만 한다. 그러한 까닭인가? 우리나라 사찰에서 석단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계단은 매우 중요한 경관요소로 작용한다.

불국사의 청운교와 백운교를 보면, 계단 좌우에 석주를 세우고 그것을 돌로 깎아 만든 난간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 난간은 계단의 틀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하고 독창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다른 것들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측면에서 우리들을 감동시키지만 그 당시에 이미 사찰을 찾은 불자들이 안전하게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는 측면에서도 다른 계단들과는 차별화되는 그 무엇이 있다.

오래 전에 만든 산지사찰을 가보면 하나같이 화강석을 다듬은 장대석 계단돌을 놓거나 울퉁불퉁하게 생긴 자연석을 놓아 계단을 만들고 있으나, 좌우에 난간을 설치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이럴 경우 아래윗단의 레벨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별로 문제가 될 것이 없으나 레벨차가 심하게 나는 경우에는 문제가 심각하다. 나이가 들어 힘이 없거나. 나이가 어려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불자들에게는 이러한 계단이라면 마음놓고 이용하기가 겁이 날 수밖에 없다.

최근에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산지사찰에서 계단에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런데 돌을 깎아 만든 계단에 나무나 철로 만든 난간을 설치하거나 심지어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봉으로 난간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들이 돌로 만든 계단과 조화를 이루기는 어려운 일이어서 사찰경관이 이상해지는 경우가 많다.

계단이 많은 산지사찰에서 계단의 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일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불자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하는 것 또한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 우리나라도 노인인구가 점차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절에 오는 불자들 가운데에는 나이가 많은 분들이 많다. 이러한 노인과 약자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지키는 일이야말로 젊고, 건강한 사람들이 해야할 보살행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