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생을 뜨내기 인생으로 살아서는 안됩니다

▲ 그림 최주현

 


마음 자체는 체가 없는 거라
이 우주 전체를 한 찰나에 갈 수도 있고 올 수도 있습니다.
한 가정이다 할지라도 전등은 많지만 한 방에 전력은 다 똑같듯이
전력을 끌어쓰는 것은
마음대로 자유자재할 수 있는 여러분이 돼야 되지 않겠습니까.
이건 정신계와 물질계가 서로 상통하면서 작용을 해야만이
삶이 편안하고 자유로울 수 있으며
죽어도 죽은 사이가 없고 살아도 산 사이가 없는
대인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팔정도를 바르게 실천하고 싶어요

문) 보통 불교에서는 그 실천 수행 방법으로 육바라밀과 팔정도가 대표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부처님 오신 날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이 시점에서 저도 부처님의 가르침인 팔정도를 잘 실천함으로써 참된 불자가 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바르게 해 나갈 수 있을는지요.

답)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념, 정정 이러죠? 올바르게 보는 것. 어떻게 봐야 올바르게 보는 겁니까? 이건 틀리고 이건 잘돼 있고, 이런 거 보는 게 올바로 보는 겁니까? 아마 여러분이 어느 하나를 봤을 때 뭐, 여러 사람이 만약에 구걸하는 사람을 봤다면 한 가지로 생각하는 사람이 몇 안 될 겁니다. 여러 가지죠. 그래서 그 보는 것 때문에 한 생각 하는 것도, 정사유도 동시에 돌아갑니다. 거기에, 보는 걸로 돌아간다. 보는 걸로 생각을 하게 된다 이거죠. 보는 걸로 생각을 하게 되면 또 생각하는 대로 말을 하게 된다. 그 말을 그렇게 하게 되면 또 정업, 바른 행동을 하게 되지 않고 그냥 자기 본 대로 행동을 하게 되는 겁니다. 모두 바르게 해라 바르게 해라 하는데 바르게 하는 게 어떤 게 바르게 하는 건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해야 바르게 하는 건지, 시시각각 달라지는데.

그래서 ‘정명’ 하면은 ‘바른 생활’ 이러는데 바른 생활이 어떤 것이 바른 생활인지…. 난처하죠, 어떤 것이 바르게 하는 것인지. 정정진, 바른 정진을 하라고 그랬습니다. 바른 정진이 어떤 것이 바른 정진인지, 줄창 여러분한테 말씀드려서 아시겠지만 어떤 것이 바른 정진인지 생각하시겠죠? 정념, 바른 의식입니다. 의식을 어떻게 가져야 하느냐.

첫번에 정견, 보는데 벌써 정념으로 왔습니다. 보는 데서부터 이게 처음에 단추를 위에서 똑바로 끼우면 아래까지 똑바로 끼워지는데 위에서 하나를 어긋나게 끼우면 밑에까지 어긋나게 끼워지죠. 그렇듯이 이게 정념 정정, 이렇습니다. 그런데 바른 의식을 하라고 했는데 바른 의식이 어떤 건지 우리는 그거를 똑 잡아서 말을 할 수 없는 것이 의식입니다. 정정. 이건 ‘이름 없는 그 정에 모두 일거수일투족 다 거기다 놓고 중심을 잡아라. 물러서지 말고 거기다 놓아라.’ 이런 뜻이죠.

그러나 우리가 생각 하나, 보는 거 하나 잘못해서 그 밑에까지 잘못되는 겁니다. 어떤 사람이 수좌들 다섯이서 공양을, 예전에는 공양을 구걸하러 다닐 때가 있었죠. 구걸을 하러 다니는데 보니깐 또 자기 외에 구걸을 하러 다니는 사람들이 있더랍니다. 그래서 그 구걸하는 사람들을 보곤 “넌 저렇게 밥 얻어먹으러 다니는 사람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하니까 한 사람이 “나같이 생각한다.” 이 나같이 생각한다 하는 것은, 그 ‘나’라는 의미 속에 여러 가지가 들어 있죠. 나같이 생각한다. 또 한 사람은 있다 “게을러서 그렇다. 우리는 공부나 하려고 그러는 거지만 저 사람네들은 공부도 하지 않는데 어째서 저렇게 얻어먹으러 다니느냐. 게을러서 그렇다.” 그러고 또 다른 한 사람은 “아주, 얼마나 없으면 저렇게 얻으러 다니겠느냐.” 하고 불쌍히 보더랍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나같이 봤다는 사람이 옳습니까, 저건 너무 가난해서, 없어서 참 안됐다고 생각하는 것이 옳습니까? 저건 게을러서 그렇다고 하는 게 옳습니까? 그 보는 거 하나, 생각하는 거 하나가 그렇게 뒤끝까지 잘못되게 만들죠. 그러니깐 그 보는 게 우스운 거 같지만 우스운 게 아니죠. 왜, 스님네들이 얻으러 다니거나 이러면 어떤 사람은 ‘땡초가 돼서 얻으러 왔다.’ 그렇게 생각하거든요. 또 어떤 사람은 ‘아이, 저 공부하다가 모자라서 어쩔 수가 없어서 얻으러 다닌다.’ 이렇게 생각하고요. 어떤 사람은 또 ‘가다 가다 배가 고파 얻으러 들어왔다. 노비가 없어서 얻으러 왔다.’ 이렇게 생각하게 되죠. 또 여러 가지로 생각을 하게 되고, 그거보다도 더 생각을 하게 되고 욕을 하게 되고 말을 하게 되죠.

그런데 보살행을 한다는 것은 그런 생각을 하는 게 아닙니다. 옛날에 어느 사람이 길은 어두운데 바삐 가다 보니까, 도둑놈이 바삐 뛰어가는 거하고 바빠서 사람이 뛰어가는 거하고 그렇게 다른데, 보살행을 하는 사람들은 그 다른 걸 보는 게 아니라 그냥 ‘얼마나 바쁘면 저렇게 뛸까?’ 하는 생각을 그냥 금방 하게 되죠. 근데 더러는 보살이 어째서 도둑이 저렇게 뛰어가는 걸 모르고 바빠서 저렇게 뛰어간다고 했느냐 이러죠, 인제. 그렇게 인정 안 하는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도둑은 도둑대로 봐야 하고 바빠서 뛰는 놈은 바빠서 뛴다고 봐야 하는데 어째서 보살이 그렇게 생각을 하느냐 이런단 말입니다. 그거 옳지 않다고.
그러나 보살행이라는 건 무조건입니다, 무조건. 무조건. 도둑이든 도둑이 아니든 말입니다. 그래서 그 도둑을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 도둑은 도둑이 없어지죠. 무주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그 한 생각으로서, 스치기만 해도 그 무주상 보시로서 그렇게 공식이 된다 이런 뜻이죠. 그러니까 무조건, 둘로 생각하지 말고 무조건 아픔도 나로 생각하고 둘로 보지 마라 이런 뜻입니다.

막상 둘로 본다면, 외부에서 내 몸으로 병균이 들어온다 하더라도 그건 둘로 돼서 싸울 것이고, 또 둘로 보지 않는다면 외부에서 세균이 들어와도 그냥 하나가 돼 버리지 둘로 되질 않습니다. 이게 말로만 그런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그렇다는 사실을 여러분은 꼭 아셔야 합니다. 우리가 안에서 일어난다 하더라도 왜 안에서 조복을 받아라 조복을 받아라 이런 뜻을 갖느냐 하면은 이 몸속에 있는 모습들도 모두 과거로부터 인연에 따라서 다 몸속에 있는 것입니다. 그 인연에 따라서 같이 사는데, 공생으로 사는데 그거를 공생으로 산다는 생각도 없고 또는 둘이 아니라는 생각도 없고 또 더불어 같이 먹으니깐 내가 먹는다는 생각도 없을 겁니다, 아마. 내가 산다는 생각도 없고. 그 한생각에 말입니다. 둘이 아니라는 생각 자체로서 수없는 그 가지가지마다 아마 거기서 연결이 될 겁니다.

이 모두가 다 사람의 생각에 따라서 보는 것도 그렇고 행동하는 것도 그렇고 말하는 것도 그렇고 모두가, 생활하는 것도 그렇고 정진하는 것도 그렇고 모두가 그렇습니다. 그러니깐 내가 그럭하니까 의식들도 그렇게 하죠. 나의 의식들도 헤아릴 수가 없는 것이 의식입니다. 나의 마음이 헤아릴 수 없는 것이 마음이고요. 그 마음을 그렇게 가지고 생각을 그렇게 가지고 행하니까 그렇게 의식도 그렇게 가질 수밖엔 없죠. 그러니까 의식들이 제가끔들 자기가 하는 대로 분수에 따라서 그냥 저지르죠. 사실은 그거를 모르니깐 어렵지만 알면은 아주 쉬운 거죠. 항상 마음에서 그렇게 돼 있기 때문에.

세상살이를 살면서 사실 생각을 해 보세요. 잘났으면 얼마나 잘났고 못났으면 얼마나 못났던가. 잘나도 한 철 살고 못나도 한 철 사는데 한 철 살면서 어떻게 내가 살았느냐에 따라 그 모습도 또 차원도, 삶도 모두가, 그 한생각 때문에 그렇게 차원이 벌어져요. 쭉 연걸리듯. 하나 생각 잘못하면 끝까지, 죽을 때까지 생각이 잘못돼서 돌아가듯이 말입니다. 이게 그래서 단추를, 아무리 모르고 끼웠어도 잘못 끼웠으면 다시 다 빼서 다 다시 뀌어야죠. 어떤 때 생각을 합니다. ‘세상에 잘나고 못난 사람이 얼마나 또 지금 많던가. 그런데 잘난 사람 못난 사람 저렇게들 들썩거리고 사는데, 잘났으면 얼마나 잘났고 못났으면 얼마나 못났던가. 그거를 알아야 우리가 세세생생에 자기의 근본 에너지를 가지고 자기가 맘대로 살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될 텐데….’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 에너지도 맘대로 자기 자유껏 쓰는 게 아니라 매여서 삽니다. 하나 매여서 사니깐 줄줄이 내려가면서, 끝까지 내려가면서 매여서 사는 거죠. 하나의 보는 게, 잘못 봐서 생각도 잘못하고 말도 잘못하고, 또는 행동도 잘못하고 생활도 잘못하고, 모든 정진도 잘못하고 의식도 잘못되고, 정말 한마음 가운데다 한마음을 되놓듯이 그렇게 되놓아야 할 텐데 그렇지도 못하고, 산란해서 말입니다. 그렇게 되면은 즉석으로 들어갈 수가 없죠.
사람이 죽었을 때를 생각해 보십시오. 자식들이 조르르 앉았든 뭐가 앉았든, 자기가 못해 놓고 가든 잘해 놓고 가든, 하여튼 죽을 때 가서는 뭐, 아무 생각 없이 버려야만 합니다. 근데 그것이 의식화되기 때문에 버리지 못하고 가는 것이 되죠. 다 버리고 가는 것인데 말입니다. 뭐 남는 게 있다고 버리질 못하겠습니까. 인연도 말입니다, 짚단 모이듯이 모여서 한 식구라고 살았는데 그것도 다 버리고, 자기가 하던 거를, 자기가 살던 일생을 다 그냥 놓아 버리고, 자기 몸도 다 버리고 그렇게 스러지는 마당에 무엇이 필요합니까? 무엇을 아등바등해서 그렇게 해야만 됩니까.

그렇게 하게 되면은 어떤 결과가 나오느냐. 삶에 대한 차원도, 모습도, 인연 인과도 전부 가지고 다시 나온단 말입니다. 자기 몸뚱이 속에 다 지니고 나오는 거죠. 이거를 잘 생각해서 사셔야지 허탕허탕 이렇게 가다 보면은, 그냥 밥을 빨리빨리 한다고 해서 뜸을 안 들이고 그냥 푸면 밥이 설죠. 그것과 같이 우리가 뜸을 들일 만큼 들여야만이 밥이 제대로 돼서 맛이 있듯이 우리 인생도 그렇게 뜨내기 인생으로 살아서는 안 된다는 얘기죠.
그러니까 한생각이 그렇게 중요하다는 얘깁니다. 한생각이 그렇게 중요하고 한 번 보는 게 그렇게 중요하고요. 한 번 보는 데 생각이 동시에 거기서 벌어지는 거니까요. 생각이 잘못됨으로서 단추가 잘못 뀌어지는 것처럼 바로 말도 잘못하게 되고 생활도 잘못하게 되고, 행동도 잘못하게 되고 의식도 잘못 갖게 되고, 정진도 잘못하게 되고 그렇게 되는 거죠.

그 과정이 다 한데 합쳐서, 내가 얘기하죠, 항상. 공생인 줄 알아라. 공심인줄 알아라. 공체인 줄 알아라. 공용인 줄 알아라. 또 공식으로 사는 줄 알아라. 이렇게요. 이렇게 할 수만 있다면 그대로 보살이죠. 그대로 보살행이며 그대로 보살로서 영원한 거죠. 또 보살로 돼 가지고도 그것조차도 놓아 버릴 수 있다면 그때는 그대로 자유권을 갖고 그대로 부처 아닌 부처가 되는 것입니다.

유아독존을 어떻게 이해해야 될는지요
문) 부처님께서 탄생하시면서 일곱 발자국을 걸으신 뒤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외치셨다죠? 근데 그 ‘유아독존’을 어떻게 이해하는 게 옳은 건지 모르겠습니다.

답)
그러니까 부처님이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한 뜻은 이런 뜻입니다. 만약에 기술자라면 제각각 기술자가 계시죠? 그러면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이 인제 회사에 나가서 일을 하고 그러는데 그럼 이런 기술자가 저런 기술자 노릇 하라면, 만약에 지금 의사 노릇 하라면 의사 노릇 하겠습니까? 못하죠? 그러니까 말하자면 농사꾼은 농사꾼대로 높고 기술잔 기술자대로 높고 천차만별로 돼 있는 게 다 높다 이 소립니다, 천상천하의 유아독존이라는 것이. 이 세상만사가 다 제각기 높으니라 한 뜻입니다. 혼자 독존이다 한 게 아닙니다. 천상천하의 유아독존. 모든 사람이 다 자기의 그저 차원대로 다 높으니라 이 뜻입니다. 저 의사더러 농사지으라고 그러면 못할 겁니다, 아마. 또 저 회사에 나가서 뭐 일하라면 못할 겁니다. 저 기술자 노릇 못할 겁니다. 그건 노냥 기술을 배워 왔기 때문에. 그래, 뱃사공은 뱃사공대로 높고, 물에서는 뱃사공이 제일 아닙니까. 안 그런가요? 어떤 사람이든 그 차원에서는 다 높죠. 어떤 가정이든지 그 가정 속에서 아버지는 다 높죠? 그래서 그 가정마다 다, 어떤 사람마다 다 높다는 뜻입니다. 하나도 없이 다 높다. 얕아도 높고, 높아도 높으니라. 왜냐 하면 저 나무가 얕은 나무가 있기 때문에 높은 나무가 빛이 나지 않습니까. 그렇죠? 높은 게 있기 때문에 얕은 게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평등한 겁니다. 모두가 얕아도 높고, 그 나름대로 높고, 모두가 높은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두가 같이 높다고 한 소립니다. 이해되시겠죠?

자꾸 돈을 빌려 달라는데…
문) 저의 집 형편도 그리 넉넉한 편도 아닌데 절에 같이 다니는 사람이 자꾸 돈을 빌려 달라고 하니 공부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참 난감합니다. 어떻게 해야 지혜로운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답)
여러분이 잘 생각하세요. 때에 따라서는 어떤 신도들은 신도를 이용해서 빚을 내고는 떼어먹고 간다거나, 또는 또 돈을 꿔 달라고 해 가지고선 간다거나 그러한 문제들이 많습니다. 또 집문서를 빌려서 달라고 한다거나 이런 문제들이 많기 때문에 절대로 그런 거는 우리 상식적으로 판단해도 그렇게 자기도 못살면서 남을 주는 것은 이것이 바로 그릇된 거다 이겁니다. 이건 사리가 맑아야지, 현재 법에 어긋나도 안 되고 사람의 참마음에서 어긋나도 아니 되는 겁니다.

그럼 주기만 하면 좋은 건가. 줘서 되지 않을 일이라면 주지 말아야 되고 줘서 될 일이라면 받을 생각을 하지 말고 줘라 이겁니다. 그래야 고가 아니다. 나는 이날까지 이렇게 해 왔어도, 누구를 줬어도 내가 달라고 생각을 하고 준 예는 없습니다. 여러분이 부처님 앞에 시주하는 거나 내가 그렇게 여러분이 가져온 걸 유의하게 쓰는 거나 마찬가지예요. 그게 다 우리 한마음 한뜻의 한 땀방울이라고요. 피라면 피일 수도 있어요.

어떤 사람이 그런 사람이 있었어요. 많이 참 모았어요. 내가 알기에도 빌딩을 세 개씩이나 이렇게 따로 해 놓고 부인이 셋이나 따로 있어요. 이런 스님도 있었어요. 근데 그 세 몸에서 낳은 애들이 어떻게 된 줄 알아요? 전부 반은 비늘이 있고 반은 비늘이 없어요. 또 반 벙어리이고 몸을 못 쓰고. 그러니 그 고통은 말도 못하는 거죠. 중노릇 하다가 그렇게 해 가지고선 나가서 돈이 많으니깐 산다고 다 옷을 벗어 버리고 나가서 사는데 그 모양인 거예요. 공부는 참 많이 해서 어디로 취직은 했으나, 취직을 해도 그 애들 때문에 더 올라갈 수도 없는 거예요. 신상명단에 그게 다 있단 말입니다. 세 몸에서 낳은 애가 여섯, 일곱인데 하나는 아예 몸을 못 쓴단 말입니다.

이러한 업보들을, 그게 하나하나가 근중한 줄 모르고 무서운 줄 모르는 게 남의 피 무서운 줄 몰라요. 남의 땀이 무서운 줄 모르고 내 배만 부르면 되고 내가 잘살면 되고, 내가 편안하면 되고, 내가 사랑하고 살면 되고, 내가 좋으면 되고, 좋은 거 타고 다니면 좋고 이런 거죠. 그래서 어떤 때는 내가 차를 타고 다니면서 웃어요. 나는 무조건 스님네들 차 타고 다니고 고생 안 한다고 욕하지 마라 이겁니다. 닥치면 닥치는 대로 자기에 의해서 타고 다니고 그러는 것도, 못나서 집 한 칸 장만 못하는 거, 또 남의 절에 다니면서 구걸구걸 하는 것도 저 못났기 때문에, 저 공부 안 했기 때문이다 이겁니다.

공부를 했으면 왜 그럽니까. 공부만 하면 돌에 갖다 세워 놔도 삽니다. 그리고 남한테 이익만 줘요. 길을 인도를 잘하고. 한마디 잘못해서 만약에 여러분이 그 한마디 잘못한 거를 믿고 지속된다면 그 여러분이 잘못돼 돌아가는 그 업보는 누가 다 받습니까. 그게 주모자가 되는 겁니다. 그래서 도둑질도 도둑질 처음에 시킨 놈이 더 죄는 중한 겁니다. 다 똑같이 죄를 받되 더 중하게 받는다. 이와 똑같은 겁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무조건 어느 절엘 나가든지 안 나가든지 모든 데서 끄달리지 말고 모든 것을, 열 가지 백 가질 해 놨더라도 그것이 바로 내 주인공의 모습이라고만 하세요. 모든 걸 하나도 둘로 보지 마라. 안 그러면 어리석게 속아 넘어간다 이겁니다. 그 수많은 거, 지금 종교뿐만 아니라 살림살이하는 것도 그렇고 참 천차만별로 살기 어렵습니다. 얼마나 끄달리고 인간이 고달픈 줄 아십니까? 편안한 날이 어느 날이 편안할까요? 아니, 잠시잠깐 그저 어떠한 웃음이 나서 웃는 거뿐이죠. 그 웃음이 그치고 나면 다시금 웃음이 멈춰지고서는 멍멍해지죠. 여러분의 그 마음속에 나도 같이 항상 하기 때문에 내가 너무도 더 잘 알죠. 그러니까 여러분에게 어떠한 지탄과 어떠한 가난과 어떠한 문제가 닥치더라도 그것을 모두 주인공에 맡겨 놓고 진짜로 주인공에서 모든 일을 한다고 믿고 물러서지 않는다면 되는 겁니다.

너무 자기밖에 모르는 자식이 있는데…
문) 참 자식농사가 어렵다더니 정말 너무 어렵습니다. 같은 배 속에서 나온 애들인데도 딸아인 제가 한마디 할 필요도 없이 스스로 알아서 잘 가고 있는데 아들 녀석 하나 있는 게 너무 자기밖에 모르고 있는 대로 속을 썩이니 너무나도 걱정스럽습니다. 나름대로 정성을 들이는데도 바뀌지가 않습니다. 제 정성이 부족한 탓일까요?

답) 우리가 일일이 내 아이들이 뭐 나가서 안 들어오네, 공부를 안 하네, 장가를 못 들었네, 시집을 못 갔네, 이렇게 뭐가 안되네 이러고 자꾸 바깥으로만 끄달린다면 그게 시험 도구가 될 수가 없어요. 시험을 할 수도 없고요. 체험도 할 수가 없고요. 한 가정에서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남편과 자식과 부모 이런 사람들이 속을 썩이더라도 그 모든 걸 내 탓으로 돌리고 내 주인공에다 맡겨 놓고, 거기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맡겨 놓고 부드러운 말을 해 주고 부드럽게 행을 해 준다면 그것이 바꿔집니다.
이 공부는 이 인간의 체질도 바꿀 수 있다는 공부입니다. 이 마음 자체는 체가 없는 거라 이 우주 전체를 한 찰나에 갈 수도 있고 올 수도 있는 그런 공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가정이다 할지라도 전등은 많지만 한 방에 전력은 다 똑같듯이 전력을 끌어 쓰는 거는 마음대로 자유자재할 수 있는 그런 여러분이 돼야 되지 않겠습니까. 이건 정신계와 물질계가 서로 상통하면서 작용을 해야만 사람이 살기가 편리하고 좀 자유스럽고 또 죽어도 죽은 사이가 없고 살아도 산 사이가 없고 이렇게 작용을 할 수 있는 대인이 될 수 있는 겁니다. 그러니 열심히 공부하도록 하세요.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