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불교로의 개종결심과 대규모 개종식

▲ 대중에게 연설하고 있는 암베드카르

16세때 〈부처님의 일생〉 읽고 불교 만나
세계불교협회 참석해 불교의식 살펴
〈붓다와 그의 가르침〉 출판
1956년 10월 13일 개종식

암베드카르가 처음 불교를 접한 것은 그의 나이 16살 때의 일이었다. 그가 해외유학을 갈 수 있도록 장학금을 주선해주었던 그의 고교 교장선생님이 ‘부처님의 일생’이라는 책을 그에게 선물한 것이 그 계기였다. 혹자는 암베드카르가 이 책을 읽고 큰 감동을 받았고 이것이 불교로의 개종까지 이어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개종을 결심한 이후 암베드카르가 불교보다는 다른 종교를 먼저 탐색했고 또한 거의 시크교로 개종을 할 뻔 했던 것을 보면 그것은 사실이라고 하기 어렵다.

사실 암베드카르의 개종선언에 대한 당시 인도 불교계의 반응은 다른 종교와 비교했을 때 조금 미지근하고 혼란스러운 것이었다. 인도에 거주하던 미얀마 승려 우 오타마는 개종선언에 대해 비난을 했다. 또한 스리랑카 승려 담마팔라가 조직한 불교단체인 대각회의 서기는 “힌두교를 떠나겠다는 결정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당신의 결심이 유감스럽습니다. 부디 재고해 주십시오. 불가촉천민에 대한 차별은 지각있는 상위계급 힌두들에 의해 없어져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꼭 개종을 하겠다면 불교로의 입문을 환영하는 바입니다. 불교 안에서는 어떤 종교적 사회적 장애도 없습니다”라는 내용의 전문을 보냈다.

그러나 당시 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던 이탈리아 출신 승려 로카나타는 암베드카르가 불교로 개종하도록 적극적인 권유를 했다. 1936년 첫 만남 이후 계속된 서신왕래에서 로카나타는 “당신 서재에 걸려있던 아름다운 부처님의 사진을 기억합니다. 당신이 제게 말했던 대로 불교는 세계에서 으뜸인 종교입니다.”라고 썼다. 이렇게 불교에 대한 호감을 가지고 있었으면서도 암베드카르는 이때 시크교로의 개종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같은 해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불가촉천민들이 개종을 한다면 시크교여야 한다.’라고 쓰기도 했다.

암베드카르가 처음 공식석상에서 불교를 언급한 것은 개종선언이 있은 지 1년 후에 있었던 연설이었다. 이 연설에서 그는 대반열반경에 나오는 부처님의 열반에 대한 내용에 대해 말했다. 그는 부처님께서 아난다에게 하신 “자기 자신에게 의지하라”라는 유언에 대해 강조하면서 불가촉천민들도 스스로에게 의지하고 진리에 의지할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암베드카르가 불교로의 개종을 진지하게 생각하게 된 것은 1940년대 들어서이다. 그는 이 때 락쉬미 나라수가 쓴 〈불교의 정수〉라는 책을 읽고 큰 감명을 받았고 이 책을 재출판했다. 그리고 불교에 관한 책을 찾아 읽기 시작했다. 인도에서 구할 수 없는 책은 영국에 있던 불가촉천민 유학생의 도움을 받아 구해 읽기도 했다. 불교교리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그는 팔리어도 공부했다. 그리고 1946년에 세운 대학을 ‘싯다르타 컬리지’라고 이름 짓고 40년대 후반부에는 사석에서 불교를 포교하기 시작했다.

그가 공식석상에서 처음으로 불교 개종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1950년이었다. 그해 5월, 그와 그의 지지자들은 부처님오신날 행사를 열고 그 행사에서 그는 한 기자에게 자신이 불교를 받아들이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날 있었던 신문사와의 인터뷰에서도 자신을 아직 불교도라고 할 수는 없지만 수년에 걸쳐 불교를 공부했다고 말했다. 또한 한 잡지에도 불교가 평등에 기반을 두고 있어 불교에 끌렸으나 아직 불자가 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같은 달 그는 대각회에서 발행하는 ‘대각’이라는 월간지에 ‘붓다와 그의 종교의 미래’라는 글을 기고했다. 이 글에서 그는 예수, 무하마드, 크리슈나 등과 부처님의 차이를 지적했다. 그는 부처님은 다른 교주들과는 달리 스스로를 결코 ‘신’이라 칭한 적이 없다는 점과 자신의 가르침이 무결하다고 말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부처님의 위대함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만약 낡은 세상과 다른 새로운 세상이 새로운 종교를 가져야 하고 새로운 세상이 낡은 세상의 종교와 다른 종교를 필요로 한다면 그것은 부처님의 종교뿐이다”라고 썼다.

같은 해 그는 스리랑카에서 열렸던 세계불교협회 회의에도 참석했다. 이 방문은 회의 참석과 더불어 생활 속의 불교예식 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곳의 불가촉천민들에게 불교로 개종할 것을 호소하고 기존의 불교도들에게는 불가촉천민들을 받아들여달라고 호소했다. 그리고 그 해 9월에는 뭄바이에 있는 한 일본사찰을 방문해 불가촉천민들이 고통을 끝내기 위해서는 불교로 개종해야 된다고 연설했다. 그리고 자신 또한 여생을 인도에서 불교를 재건하고 전파하는데 바치겠다고 선언했다. 힌두교를 떠나 새로운 종교로 개종하겠다는 선언을 한 후 처음으로 그 새로운 종교가 불교라고 밝힌 것이다.

이후 여러 차례 불교로 개종하겠다는 그의 결심을 밝히며 불교로의 개종식을 준비하고 있던 그는 쉽고 단순한 불교교리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새롭게 불교로 개종할 불가촉천민들이 공부하기에는 불교경전이 너무나 방대하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1951년 집필한 착수한 그는 1956년 〈붓다와 그의 가르침〉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했다. 그리고 그해 있었던 부처님오신날 행사에서 10월 13일에 개종식을 거행하겠다고 선언했다.

불가촉천민들을 고통에서 해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개종을 선택했던 암베드카르가 그들을 위한 새로운 불교로 불교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는 수차례에 걸쳐 자신의 사회 철학이 자유, 평등, 우애라고 밝히고 있다. 종교 또한 자유, 평등, 박애를 기초로 해야 하는 것인데 이것에 부합한 종교는 불교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종교는 열린사회를 위해 필요한 것이기에 합리적, 과학적이어야 하고 불교만이 이러한 요구에 충족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무엇보다, 불가촉천민들을 고통 받게 한 원인인 카스트 제도를 이미 부처님 당시부터 부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가장 크게 그를 매혹시켰을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