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류에 옹벽을 설치하여 사찰과의 소통이 단절된 모습.하루속히 원형을 복원하여야 한다. 서울 ㅎ사찰
우리의 옛 사찰에는 사역을 휘감고 흐르는 계류로 인해서 붙여진 이름이 많다. 서울의 화계사, 의왕의 청계사, 인제의 백담사, 아산의 용담사, 괴산의 각연사, 대구의 파계사, 달성의 용연사, 청도의 적천사, 하동의 쌍계사, 거창의 송계사, 함양의 용추사, 화순의 만연사 등이 그러한 사찰이다. 이들 사찰에 가보면 절 주변으로 맑고 깨끗한 물이 사시사철 흐른다. 물소리만 들어도 부처님의 법문을 듣는 것 같고, 물이 넘쳐나니 마음까지 넉넉해진다.

절 이름이야 굳이 계류와 상관없이 붙여졌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 사찰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절 주변을 흐르는 물길이다. 그만치 사찰에서는 절 가까이로 흐르는 물을 귀하게 생각했던 것이다. 물이라는 것이 삼라만상을 기르고 그것들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고, 미기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도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절에서는 수행처가 되기도 하니 어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겠는가? 풍수가들은 예로부터 좋은 물이 있는 곳이 바로 좋은 땅이라고 생각했으므로 사역주변으로 물이 흐르고 맑은 물이 고인 소(沼)나 담(潭)이 있는 곳을 찾아 절을 세운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닌 것이다.

절에서 오랜 세월을 수행해 오신 노스님들의 말씀을 들으면 절 주변을 흐르는 계류는 신성한 존재였다고 한다. 계류에서는 물을 더럽힐 행위는 일절 삼갔으며, 계류의 현상이 바뀔 일은 애당초 하지 않았다고 한다. 가능하면 물길이 가진 본래적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수시로 청소를 하여 청정환경을 유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요즈음 사찰에 가보면 절에 인접한 계류가 개발압력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것을 금방 알아차릴 수 있다. 사역을 확장하기 위해 계류 가에 옹벽을 쌓아서 사찰과 계류를 단절하고 있음은 물론 보기에도 좋지 않고, 전통사찰의 경관적 정체성을 헤치는 일들이 흔하게 일어나고 있다. 심지어는 생활하수를 정수하지 않고 그대로 계류에 방출하는 경우도 있으며, 쓰레기가 이곳저곳에 방치되기도 한다.

사찰주변에서 성업 중이던 음식점들을 이전하면서 사찰의 청정성을 기대했던 우리들에게 사찰내부에서 일으키는 계류의 오염행위는 매우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찰이 예전과 같은 청정환경의 성지가 되기 위해서는 사찰이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