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과 북한특수 기사가 계속 관심을 모으고 있다. 흥분하거나 냉담하지 않고, 통일 문제를 보는 바람직한 시각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정상회담 발표에 대해, 정당들은 남북 현실과 국제정세를 꿰뚫어보는 정책으로 말하지 않았다. 아무 준비 없던 돌발사태를 놓고 악쓰듯 서로 비난했다.

이 점은 우리 사회가 통일문제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잘 말해 주는 대목이었다. 서로 정략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진정한 민족문제로 풀어 가는지 지켜봐야 하고, 무엇이 걸림돌이 되는지 살펴야 한다. 냉전시각을 버리는 일부터 시작하여, 북한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남북이 함께 고민해야 할 인권문제들은 실타래처럼 얽혀있는 현안이다. 국가보안법 장기수 탈북자 꽃제비 문제를 비롯해, 겨우 회복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심각한 경제난 속에 위협받고 있는 북한 인민의 생존문제들은 어쩔 수 없이 국제 정치경제적 관계에서 풀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민·관이 비판적 동반관계로 협력하여 구체적인 대응책을 연구해야 한다. 예를들어 수십만에 이르는 탈북난민의 인권과 장래 문제는 원칙적 주장만 할 수 없이 복잡하다. 러시아와 중국에 의해 강제송환된 탈북자들 문제가 시사했듯이, 북한과 중국 러시아의 관계나 각국의 이해를 고려해, 정부와 민간 및 언론이 적절히 역할을 나눠야 한다.

또한 남한 자본과 북한 노동력의 결합으로 기대하는 복합효과도 이윤창출이나 노동력의 가치가 다른 북한과 함께 해야 할 일이므로 환상적으로 생각해서 안 된다. 연구된 실무능력이 뒷받침되고, 우리 스스로도 생각을 바꾸는 결단을 내려야 할 일이 많다. 그러자면, 불교계 또한 전체 역량을 모아, 전문가와 불자대중이 결합하는 정책 제시와 실천이 가능하도록, ‘옛 인연을 이어서 새 인연을 맺도록’ 뚜렷한 의지와 제도가 하루 빨리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