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단법인 또는 재단법인 형태의 민간 발굴전담기구들이 전국적으로 속속 설립되면서 이들이 전체 발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국내 최초의 민간 발굴전문법인은 94년 설립된 영남문화재연구원. 이어 95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발굴조사사업단, 97년 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경남고고학연구소, 경북문화재연구원, 98년 경남문화재연구원, 99년 기전매장문화재연구원, 호남문화재연구원, 조계종불적조사단 등이 설립됐다. 올해 들어서는 울산문화재연구원이 새롭게 발족했다.

이처럼 최근 민간 발굴전담법인이 급속도로 늘어난 것은 90년대 후반 들어 대규모 개발공사로 긴급 구제발굴의 필요성이 급증한 것이 가장 큰 이유. 실제 96년 191건에 불과하던 발굴건수가 지난해에는 331건으로 급증했다. 여기에다 발굴 기간과 비용 단축을 고려한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설립지원도 한 몫을 차지했다.

민간 발굴전담법인들의 발굴 비율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전체 발굴건수 331건 가운데 108건(33%)을 이들 법인이 실시했으며, 올해 들어서는 267건 중 102건(38%)을 이들이 맡았다.

이에 대해 최태선(중앙승가대) 교수는 "발굴기간과 용역비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앞으로 민간 발굴전담기구들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발굴전담기구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발굴의 질적 수준 유지를 위해 대학과의 역할 분담과 인적. 물적 교류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역할 분담이 안된 상태에서 민간 발굴전담기구의 증가는 곧 발굴물건 확보를 위한 경쟁으로 이어져 자칫 부실발굴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대학과 발굴전담기구의 역할분담과 협력관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발굴전담기구는 구제발굴을 전담하고, 대학은 특수한 발굴이나 학술목적의 발굴을 담당토록 함으로써 연구 및 교육이라는 본래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종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