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는 강력한 억불정책으로 불교의 침체기였다. 불교미술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16세기는 왕실에 의해 불교가 융성하면서 불화가 집중적으로 제작됐다. 현재 남아있는 조선 전기 불화 120여점 중 90여점이 16세기 작품. 이같이 불교미술의 활기를 띨 수 있었던 것은 활교의 융성에는 최근 화제의 드라마 SBS ‘여인천하’에서 전인화의 열연으로 새삼 주목받고 있는 문정왕후(文定王后ㆍ1501~1565)가 있었다.

김정희 원광대 교수는 5월 25~26일 열린 전국역사학대회에서 ‘문정왕후의 중흥불사와 16세기 왕실발원 불화’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16세기는 문정왕후의 불교중흥 정책에 힙입어 수준높은 불화가 창출되는 등 궁중양식(宮中樣式) 미술이 활짝 꽃을 피운 시기”라고 주장했다.

또 “불심이 깊었던 문정왕후는 아들 명종이 즉위하면서 정권을 잡게 되자 보우(普雨ㆍ?~1565) 대사와 함께 20여년동안 유학자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불교중흥책을 추진하면서 특히 아들 명종의 건강을 위해 기원화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기원화는 명나라에서 전해진 불화양식의 영향과 조선 산수화의 특징을 반영한 독특한 궁중양식의 불화라는 것.

이와함께 김교수는 “문정왕후가 죽은 후 보우대사가 요승으로 몰리고 다시 억불정책이 강화되면서 불교미술도 위축됐지만 퇴계와 율곡이 등장하며 유학이 전성기를 누린 16세기에 문정왕후에 의해 잠깐이나마 불교미술이 화려한 꽃을 피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부디엔스